[나의 노동 글쓰기의 역사 1] 학보사에 글을 기고해 1만원 문화상품권을 받다 - "기초과목에 논리학 수업이 필요하다"

in #kr7 years ago (edited)

스팀잇을 하고 있는 우리는 글을 써서 적게는 몇백원, 많게는 몇백만원의 보상을 얻고있다. 글쓰기가 일종의 노동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글실력은 없지만) 글로 돈을 벌어 먹고 사는 사람이 되고 싶었던 나에게 혁명적인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스팀잇에서 글에 대한 보상을 많이 받아서 그렇지, 현재까지도 스팀잇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서 글로 돈을 벌기란 쉽지 않다. 꽤나 저서가 많이 팔려 이름을 날렸던 어떤 책의 저자가 받는 인세를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그렇다. 현실 세계에서 글을 써서 돈을 벌기란 정말 힘들다. 특히 나처럼 글실력도 없고 빽도 없고 외모도 후달리는(?) 사람에겐 더욱 기회가 없다.

그러나 나의 비루한 글쓰기 커리어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글을 써서 돈을 번 기억이 있다. 나는 이러한 글을 써서 돈을 버는 행위를 "노동 글쓰기"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다들 관심은 없겠지만 내 삶의 노동 글쓰기의 기억을 몇 가지 들춰보려고 한다. 그 중 팀으로 논문을 써 상금을 받았던 것을 제외하고, 온전히 나 혼자 시작하고 마무리 지은 노동 글쓰기는 딱 2 사례가 있다. 오늘은 그 중 학보사에 글을 기고하고 문화상품권을 받았던 사례를 소개해보고자 한다.

image.png

처음으로 내가 쓴 글이 저명한 언론(?)에 활자로 인쇄되어 실렸던 것을 본 기분은 꽤 좋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2014년 무더운 여름, 몇명의 후배들과 함께 대학원 입시를 위해 영어 스터디를 하고 있던 와중이었다. 평소 수다떠는걸 좋아하는 나는 사실 영어 스터디보단 잡담에 좀 더 집중했다(그 땐 대학원 시험까지 정말 많이 남은 것처럼 느꼈었는데, 매우 오만한 짓이었다).

도대체 어떤 맥락에서 이야기가 시작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당시 나는 구조주의자에 논리실증주의자라고 스스로는 생각하고 있었고, 존경하는 철학 교수님의 형식논리학과 실용논리학 수업에 심취해있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논리학 기초과목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행동과 사고를 한다고 주장하며 영어나 글쓰기 처럼 필수교양과목으로 논리학 수업이 포함되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리 부자연스러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평소 되도않는 소리를 하면 다들 한숨을 쉬며 고개를 가로젓기마련이었는데, 한 후배에게는 이런 장광설이 꽤 재미있게 들렸나보다. 스터디가 끝나고 집에 가려는 나를 부르더니, 대학 학보사에 기고문을 하나 써보지 않겠냐고 제안하는 것이었다.

나는 언젠가 언론에 노출되기를 소망하고 있었고, 굳이 그런 것이 아니더라도 내가 쓴 글이 신문 형식으로 인쇄되어 나온다는 것이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아 흔쾌히 수락했다. 사실 거창하게 말해 기고문이지, 문화상품권 1만원 권을 경품처럼 주는, 학보사의 지면을 채우기 위한 일종의 '우리 학교 학생의 소리' 같은 코너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나에게 1만원은 매우 큰 돈이었고, 저명한 신문(?)에 내 글이 실릴 수 있다는 사실도 매우 기뻤다. 전해들은 말로는 코너 담당자가 내 글을 꽤 마음에 들어했다는 것 같지만, 딱히 문화상품권의 금액이 늘어나진 않았다. 그리고 일부러 수업을 들었던 철학 교수님을 언급하며, 그 교수님이 내 글을 읽어주지 않을까 내심 기대했지만 이후에 나에게 별 말씀을 안하신 것을 보면 읽지 않으신 것 같다. 뭐, 이제와서 그리 중요한 사실은 아니다.

결국 이 글을 쓰고 햇수로 4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 학교에 논리학 필수 교과목이 생기진 않은 듯 하다. 나는 논리학 수업이 대학의 기초 교양 과목이 되어야한다는 사실을 아직도 믿고 있다. 내 목소리가 학교에 닿진 않았지만, 그래도 이런 짤막한 잡문이라도 읽은 누군가가 어떤 새로운 생각을 떠올렸다면 그걸로 만족한다(나만 신문지가 닳도록 보고 또 봤을지도...).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어느순간부터 1-2만원은 그렇게 크지 않아보이는 세계에 들어오고 말았지요. 후후

ㅋㅋㅋㅋㅋ 진짜 그렇습니다... 두세달전만해도 이런건 상상도 못헀는데 말이죠 ^^;

오~~
빔바님
신문에 실리셨었군요^^
그러게요 스티밋 보상이 크지요?
스티밋보상이 적정수준이고.. 우리가 사회에서 받는 보상은 매우 편협하게 짜여진 거머리 피빨아먹기(이거 에픽스 100서에서 본 표현입니다. sns유저들이 플랫폼 주인과 주주들에게 피를 빨리다 빨리다 이제는 아예 거머리가 될 지경이다? 라고 나와 있더라구요) 라고 믿고 싶습니다.
스티밋 만세~!!

앗 100서가 아이고 백서 네요.. 저의 무의식적 무식함에..깜놀

ㅋㅋㅋㅋㅋ 대댓글로 수정해주셨군요 :) 거머리 피빨아먹기라는 표현이 대놓고 나와있다니 점점 에픽스가 마음에 드네요 ^^ ICO다음라운드에 꼭 참여해야곘습니다 ㅋㅋㅋㅋ 빨리 플랫폼에서 탈출해 열심히 돈을 벌어야겠어요 ㅎㅎ 스팀 만세!!!!

책 집필자가 손에 쥐는 돈은 책가격의 10%정도인가
그에도 못 미친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어렴풋이 나네요.

음.. 빔바님 글을 읽으면 항상 느끼는건데, 빔바님은 스팀잇을
정말 좋아하신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도모르게 올려주시는 글 중 많은 것들을 스팀잇과
연관지어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이곳에서 오래 활동하셨고, 또 보증금과 대출금을 마련하시고
많은 도움을 받으셔서일까요?

근데 신기한 건, 이곳에서 활동한지 6주 정도 되어가는 저도
뭔가 어렴풋이나마 그 기분을 이해할 것 같은 기분이 드네요 ㅋㅋ
주제넘은 소리있 수도있지만요 ㅎㅎ

@stella12님 아직 6주밖에 안돼셨군요! 엄청 오래되신 느낌이었어요 ㅎㅎ 생각해보면 스팀잇에서 6주면 꽤 긴 기간인 것 같기도 합니다 흐흐... 말씀하신 것처럼 스팀잇이 저에게 많은 것을 해주었기 때문에 스팀잇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같아요 :) 스팀으로 글써서 그동안 얻어먹기만 했던 친구들에게 밥을 사주기도 하고, 컴퓨터를 사고, 대학원 연구비로 사용하고 말이죠. 특히 요즘 처럼 보상이 큰 시절에는 그런 것들이 더욱 크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 스텔라님도 그런 기분을 느끼고 계시다니 기쁘네요 ^^ 앞으로도 많은 분들이 저처럼 스팀잇에서 즐거움과 수익을 얻으셨으면 좋겠어요!

저희학교는 논리학 관련 여러과목이 인기가 많아서 신청도 빡세드라구요

오 좋은 학교군요 :) 저희 학교도 독보적인 한 분이 계시긴 한데 수업 갯수가 많이 부족한 형편이더라구요 ㅠㅠ 재미없는 분에게 배우면 그 과목도 싫어지니 말이죠... 좋은 선생님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ㅋㅋㅋㅋ

역쉬 vimva님 필력 ㅎㅎㅎㅎ
글로 돈벌기는 정말정말 힘들죠...
스팀잇은 정말 혁명적인 시스템인것같슴니다..ㅎㅎㅎㅎ

ㅋㅋㅋㅋㅋ 과찬의 말씀이십니다... 사실 스팀잇 글쓰기의 단점은 글을 많이 쓰다보니 좀 가볍게 쓰게 되더라구요 ^^;; 요즘 일부러 무게잡고 써보려고 하고있는데 좀처럼 쉽지 않네요 ㅎ... 요즘 스팀잇 같은 플랫폼들이 여기저기 나타나려는 조짐이 보인다던데 어떤 추세를 보일지 궁금해지네요 ^^ 아직 까진 전 스팀잇이 짱짱입니다!

저는 오마이뉴스에 2000원짜리 기사가 실린게 처음이었는데 ㅋㅋ 저보다 무려 5배 이상으로 시작하셨네요

헉.. ㅋㅋㅋㅋㅋ 오마이뉴스면 학보사하곤 비교가 안되네요 ^^; 근데 그정도 규모의 신문사에서 기고문에 2000원밖에 안주다니 너무한 것 같습니다 ㅠㅠ 아마 옛날이야기시겠죠? ㅎㅎ

지금도 잉걸은 2000원인데요 ㅋㅋ 그게 기사퀄리티의 문제보다 2번은 잉걸(2000원), 2번은 버금(만이천원), 2번은 오름(3만원), 하고 그때부터야 오름(6만원)을 주더라고요. 그래도 스트레잇으로 올라가긴 했었지만.... 스팀잇의 수익에 비할 바는 아니죠.

스팀잇에서 제가 제일 돈 많이 벌었던 글인 1987영화리뷰는 오마이뉴스에서는 3만원 밖에 받지 못했습니다... 6만원을 줬으면 여기 안 올리려고 했는데.. 새옹지마였죠 ㅋㅋㅋ

아 그렇군요... 단계가 있었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말씀을 들으니 더더욱 스팀잇의 소중함이 느껴지네요... 어지간히 열심히 쓰면 5~6만원은 버니까요. 나중엔 스팀잇의 파생능력까지 더욱 커져서 미디어의 역할도 잘 하게 된다면 좋겠네요 ^^

빔바님같은분이 글실력이 없다고 하시면 저같은녀석은.....ㅜㅠ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아닙니다 ㅠㅠ 제 글은 너무 무미건조한 것 같아요... 느낌있게 써보고싶네요 ㅎㅎ 스팀잇 1년만 더 하면 잘 쓰게 될 것 같기도합니다 ^^;

빔바님.. 이렇게 필력이 좋으신데 글실력이 없으시다니요....
저같은 글짓기바보는 웁니다 ㅋㅋㅋ

ㅋ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matildakim님... 그래도 매일 같이 쓰다보니 좀 나아진 것 같네요 ^^; 스팀잇을 통해 열심히 글쓰기 훈련합시다! 함께 화이팅입니다 ^^

맞아요 이게 다~ 사진한장으로 승부하던 인스타그램에 너무 적응이 되있어서 그런것같아요 ㅎㅎ 스팀잇을 하니 글짓기 공부 연습을 다시 하는것 같아서 새롭기도 합니다 화이팅 빔바님 ^^^^

우와
멋진일이 일어났군요
좋아하는일로 길이 열리면 넘 좋죠~!

흐흐 감사합니다 :) 좀 더 좋은 일들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