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사리동자(보살)

in #kr2 years ago (edited)

나무 아미타불()
안녕하세요^^
구례 화엄사와 하동 쌍계사에 있는 귀여운() 문수동자 사진을 올립니다
울산에도 문수사가 있구요~
문수사가 있는 곳이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입니다
이렇듯 가까운 곳에 문수보살에 관한 곳도 있고 경전에도 많이 나오는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에 관해서 글을 올립니다

문수보살에게도 다른 불보살처럼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십대원(十大願)이 있습니다

① 모든 중생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성취하게 하고 갖가지 방편으로 불도에 들게 한다.
② 문수를 비방하고 미워하고 죽음을 주는 중생이라도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③ 문수를 사랑하거나 미워하거나, 깨끗한 행을 하거나 나쁜 짓을 하거나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④ 문수를 속이거나 업신여기거나 삼보(三寶:불교의 세 가지 보배. 부처, 부처의 가르침, 부처의 제자)를 비방하며 교만한 자들이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⑤ 문수를 천대하고 방해하며 구하지 않는 자까지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⑥ 살생을 업으로 하는 자나 재물에 욕심이 많은 자까지 모두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⑦ 모든 복덕을 부처님의 보리도에 회향하고 중생이 모두 복을 받게 하며, 모든 수행자에게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⑧ 육도(六途:지옥·아귀·축생·수라·하늘·인간세상)의 중생과 함께 나서 중생을 교화하며 그들이 보리심을 내게 한다.
⑨ 삼보를 비방하고 악업을 일삼는 중생들이 모두 보리심을 내어 위없는 도를 구하게 한다.
⑩ 자비희사(慈悲喜捨)와 허공같이 넓은 마음으로 중생을 끊임없이 제도하여 보리를 깨닫고 정각을 이루게 한다는 것이다.

권속으로 문수팔대동자(文殊八大童子) 또는 팔지존(八智尊)이라고 부르는 동자 8명이 있다. 이들은 팔자문수(八字文殊)의 공덕을 상징하고 표시한다. 팔자문수는 옴 아미라 훔 카자락(唵阿尾囉吽佉左洛)이라는 여덟 글자[4]를 진언으로 하는 문수보살로 중대팔엽원(中台八葉院)에 배치하여 천변이나 병난 따위를 물리치고 연명하기 위하여 본존으로 삼는다. 팔대동자는 방위를 표시할 때는 동북방에 계설니(計設尼, Keśīnī), 동남방에 오바계설니(烏婆計設尼, Upakeśīnī), 동방에 가다라(駕多羅, Citrā), 서남방에 지혜(地慧, Vasumati), 북방에 청소(請召, Ākarṣaṇī), 남방에 광망(光網), 서방에 무구광(無垢光), 서북방에 부사의혜(不思議慧)를 배치한다. 이들은 본존을 중심으로 사주(四周)에 둘러선다.
울산에 전해오는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과 관련된 전설이 전한다.

울산 문수산에 있다는 문수보살에게 신라를 살릴 지혜를 구하러 왕이 행차하였다. 태화강을 건너 현재의 삼호교 부근에서 어린 동자승이 왕을 마중나왔는데, 동자승은 "스승 문수보살은 출타해 만날 수 없다."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졌다. 왕은 그제서야 동자승이 문수보살이었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찾았으나 결국 찾지 못하고 돌아갔다. 이 전설은 아직도 인근 지명에 남아있는데, 동자승이 간 곳 없이 사라진 곳이 무거(無去)동, 애타게 세 번 부른 곳이 삼호(三呼→三湖)동, 자취를 못 찾아 멍하니 바라본 곳이 망성(望聖)리, 쫓아가다가 주저앉은 곳이 허고개, "헐 수 없다." 탄식하며 물을 마신 우물이 헐수정(공원)이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내용이지요^^
부처님 고맙습니다()
인연되신 모든 분들 고맙습니다()

1676595759631.jpg

BandPhoto_2023_02_17_09_59_59.jpg

Sort:  

문수보살님 십대원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