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 든 • 손

in #steemzzang14 hours ago

방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발톱을 깎는 어머니 발끝에
햇발이 찾아왔다

햇발의 가지런한 발가락
발톱이 보이지 않는다
신발 속에 가둔 적도 없는 고운 발로
못 가는 곳이 없다

젊을 적
여자가 발이 큰 것도 흉이라
한 치수 작은 신발을 신고 산 덕에
발가락마다 옥수수 알갱이가 여물었다

햇발아래 발톱을 깎는 일도 옛말이 되어
누가 발톱을 깎아주는 동안
햇발의 매끈한 종아리가 눈이 부셔
발끝을 점점 오므린다

image.png

늙은 어머니의 발톱을 깎아드리며 - 이승하

작은 발을 쥐고 발톱 깎아드린다
일흔다섯 해 전에 붙었던 된바람은
내 어머니의 첫 울음소리 기억하리라
이웃집에서도 들었다는 뜨거운 울음소리

이 발로 아장아장
걸음마를 한 적이 있었단 말인가
이 발로 폴짝폴짝
고무줄놀이를 한 적이 있었단 말인가
뼈마디를 덮은 살가죽
쪼글쪼글하기가 가뭄못자리 같아
굳은살이 덮인 발바닥
딱딱하기가 거북이 등 같다

발톱 깎을 힘이 없는
늙은 어머니의 발톱을 깎아드린다
가만히 계세요. 어머니
잘못하면 다쳐요
어느 날부터 말을 잃어버린 어머니
고개를 끄덕이다 내 머리카락을 만진다
나 역시 말을 잃고 가만히 있으니
한쪽 팔로 내 머리를 감싸 안는다

맞닿은 창문이
온몸 흔들며 몸부림치는 날
어머니에게 안기어
일흔다섯 해 동안의 된바람 소리 듣는다.

제3회 zzan문학상공모 (zzan PrizeforLiterature)

https://steemit.com/steemzzang/@zzan.admin/3-zzan-zzan-prize-for-literature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jjy, I was deeply moved by the raw emotion and poignant imagery in these poems! The way both poets capture the love and quiet sacrifice embedded in the act of caring for an aging mother is truly beautiful. The contrast between the past, when feet were constricted by societal expectations, and the present, where they represent a lifetime of resilience, is incredibly powerful.

Lee Seung-ha's piece, in particular, with its vivid descriptions of weathered skin and the shared silence filled with unspoken understanding, resonated deeply. The image of the mother gently touching her child's hair is unforgettable.

Thank you for sharing these touching works and the announcement for the zzan Literature Prize! I'm sure many Steemians will appreciate this heartfelt post. What struck you most about these poems? I'd love to hear your thoughts and encourage others to share their interpretations as well. Let's celebrate this beautiful exploration of family and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