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스톤의 스코판 이야기) 스코판의 본질적 가치는 무엇일까

in #sct5 years ago

Sct의 가격이 올라간다는 소리가 들린다. 거의 1달러에 육박하는 보양이다. 0.5달러에 공모를 했으니 지금 팔면 두배이다. 어마어마한 성공이다. 스코판이 활기를 띠는 것을 보면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들지만 sct가격이 불과 며칠만에 두배로 올랐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뭔지 모르게 걱정이 되기도 한다. 저렇게 마구 올라가면 무슨일이 생길까 ? 혹은 정말 스코판은 스팀잇과 뭔가 다른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

스코판에서 작성하더라도 스팀잇에 그대로 다 노출되는 상황에서 스팀잇과 스코판의 차이를 어떻게 자리매김해야 할 지 잘모르겠다. 기술적으로 스코판에서 작성되는 것이 아예 스팀잇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없는지 모르겠다. 그래야 스코판은 스코판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발전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의 이런 애매모호한 상황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모르겠다.

원래 잘 나갈때 조심하는 법이다. 일단 처음 출발을 성공적으로 했으면 이런 성공을 어떻게 이어나갈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런 고민은 운영진의 몫이다. 아마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족을 덧붙이고자 한다,

여기저기 SNS를 기웃거리다 보니 스코판에 대해 의심스런 눈초리로 보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스티미언끼리 으쌰으쌰 해서 밀어 올리지만 시간이 지나면 추풍낙엽처럼 될 것이며, 그래서 다시 스팀도 엉망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렇게 될지 안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그렇게 비판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의 주장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우려하는 사람들의 생각처럼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도 없다. 잠시 잘못하면 휘청하기 쉬운 것이 첨단분야의 특성이다. 스코판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 저는 그것을 스코판의 본질에 충실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스코판의 본질이 무엇일까 ? 그것은 암호화폐에 대한 다양하고 가치있는 포스팅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보상을 50대 50으로 나눈 것도 투자자들이 많이 가져가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투자자들이 좋은 포스팅에 마음놓고 보팅을 하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규레이터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냥 보팅을 하고 말 것이 아니라 의미있고 좋은 콘텐츠를 스코판의 다른 사람들이 잘 읽을 수 있도록 정리하고 선별하는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콘텐츠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등을 이용해서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확산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암호화폐에 대해 잘 아는 사람에게 개별 암호화폐를 소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미 스팀잇에 발표된 암호화폐에 대한 콘텐츠 중에서 지금봐도 의미가 있는 내용을 다시 찾아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스팀잇의 가장 큰 문제는 지나간 콘텐츠를 다시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어마어마한 분량의 콘텐츠가 작성되어 있지만 그것을 다시 찾아서 보기가 어려운 것이 스팀잇의 가장 큰 문제이기 때문이다, 만일 과거 작성한 콘텐츠 중에서 다시 찾아 읽어야 하겠다고 할 것이 없다면 우리는 3년 내내 쓰레기만 생산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난 절대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한때
참새라는 분이있었다. 지금은 활동을 하지않고 있지만 그분의 포스팅은 정말 공부하는 출발점으로 좋았었다.

제가 생각하는 스코판의 본질적 가치는 좋은 콘텐츠라고 생각한다. 이와함께 독자들도 좋은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넘쳐 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 그런 과정이 선순환되어서 한국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면 스코판을 찾아봐야한다는 이야기가들어야한다.

어차피 스팀코인판이라는 이름으로 출발을 한 이상 보다 전문적인 내용이 많이 작성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의 상황을 보고 우려하는 사람들을 안심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 아닐까 ?

운영진들도 고민하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하지만 노파심에 한 마디해 본다.

Sort:  

현재 sct의 큐레이터로 활동을 하면서 가장 큰 고민이 바로 말씀하신 좋은 콘텐츠를 찾는 것입니다.
20명의 큐레이터가 각자의 생각으로 좋은 콘텐츠를 찾다보니 그 기준은 제각각이거나 쏠리는 부분이 없지않아 있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기준으로 보팅을 하는데 문제는 그 보팅이 정말 좋은 콘텐츠에 보팅을 하고 그렇지 않은 콘텐츠는 아예 보팅을 하지 않는 것이 맞는 것인지 그렇지 않더라도 보팅의 비율을 줄이는 것이 맞는 것인지 고민스럽습니다.

분명히 스팀이든 sct든 발전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는 작가가 많아지고 더 활발하게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기에 그 역할이 더 무겁게 느껴집니다.
잘하고 있는 것인지...

그래서 더 심사숙고하여 글을 읽고 보팅하고 새로운 글을 찾는데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각자 알아서 큐레이터들이 정하면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큐레이터 9번 드림). 20명이 각자 큐레이팅하면 다양하게 큐레이션 되지 않을까요.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
근데 다양한 큐레이션이 좋은 큐레이션인가 라는 의문이 생겨서요~~
일단 저부터 좋은 컨텐츠의 글을 잘 찾아서 잘 보팅하고 있는가? 라는 의문이 드는 건 사실입니다^^

결국은 서로 적당한 역할 분담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전문적인 글과 통찰력을 주는 글 또 커뮤니티에 기여하는 글 참고할만한 비판을 한 글 등등 일정한 기준을 정하고 서로 역할 분담을 하면 좋지 않을까요

큐레이터들의 책임이 막중해지는거 같습니다.

그럴 듯 합니다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각각의 포스팅이 지향하는 가치가 보팅된 수치가 아니라,
진정 필요한 사람에게 최선의 기준점을 제공하는 바로미터가 되길 바랍니다.

슬픈 것은 결국은 숫자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지요

좋은 말씀입니다.
운영진도 스팀엔진의 툴 안에서 해결책을 고심해야하니 많은 고민이 있을 것 같습니다. :-)

그런 과정을 통해 발전을 하는 것이지요

점점 고민들이 많아 지는 시점 같습니다.
운영진과 큐레이터 분들이 부담이 점점 많아 지네요.

이제 시작 한지 얼마 안 되었으니 천천히 만들어 가면 될 듯 합니다.

그렇습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지요

제 생각은 코인을 주제로 이야기 하는 곳이 따로 분리된 느낌입니다. 글도 분류가 되어, 전보다는 집중되어 찾아보려면 접근성을 나아진 느낌입니다. 그런데... 제가 드는 생각은요. 사람과 숫자가 공존하기는 힘들까요. 왜 평가는 숫자화 되어야 할까요. 보이는게 보여지는 거겠지요. 아... 마음이 조금씩 불편해지고 있습니다. 저는. 저의 한계를 또 느끼고 있습니다.

ㅎㅎ
교수님도 제자들이 다 이쁘지만 결국 점수를 줄 수 밖에 없잖아요
어쩔 수 밖에 없는 현실 아닌가 합니다

선형보상이다 제곱보상이다 뭐 이런 내용들은 이해하긴 어렵지만 벌써부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보이는것 같아 좀 아쉽습니다
누가봐도 정성을 들여쓴 글에 보팅액이 적게 찍히는것을 보면 안타깝더라구요
큐레이터로서 그런 부분에 조금 더 신경써야 겠습니다

정성들여 쓴 글이 보팅을 적게 받는다면 그런 상황을 커뮤니티에 알리는 것도 큐레이터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전 방법을 몰라서 못하네요. 저도 좀 벌고싶은데 알아야하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