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호관세의 파장과 주요국 경제지표
美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의 파장은 상호 맞대응 등으로 상당기간 지속될 소지가 있다. 그리고 美트럼프 정부의 출범 10주가 지난 지금 소프트 Power 약화 관련 우려가 증가한다. 한편 올해 3월 美제조업 PMI 및 2월 구인건수가 관세우려 등의 반영으로 전월대비 부진하다. 유로 존의 올해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상승세가 둔화하며 ECB(European Central Bank)의 금리인하 여건을 강화한다. 또한 올해 3월 中차이신 제조업 PMI가 양호한 수출 등으로 4개월 래 최고치를 기록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美상호관세의 파장
트럼프는 1기 당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파기 및 재협상을 주장한다. 2017년 8월에 우호적인 분위기로 시작된 3개국 대표들의 협상은 트럼프의 독단적 결정과 국가 간 정치적 비난 및 중국 등 여타국 관세이슈와 결합되면서 ˋ20년에 새로운 협정(USMCA)이 체결된다. 특히 협상 2년차(ˋ18년)는 美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를 초래한다. 이번 상호관세 역시 교역국과의 입장차이로 새로운 협상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할 소지가 있다. 특히 협상은 다양한 비(非)관세장벽 등 매우 복잡한 요인을 다뤄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해외 이익집단과의 마찰 및 정치적 반발(反撥)도 예상된다. 이에 상호관세 발효는 갈등과 보복을 알리는 신호가 될 수 있어 교역국들은 장기간 경계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美소프트 Power 약화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시 안정된 경제를 물려받았으나 대외 경제정책 공세로 성장전망은 하향 조정된다. 특히 상호관세가 전면적으로 시행될 경우 미국은 금년 내에 정책적 선택으로 자초(自招)한 경기침체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 경기침체 보다 더욱 심각한 것은 美소프트 Power가 저항 없이 붕괴(崩壞)되고 있는 점이다. 외국인과 난민을 배척(排斥)하고 권위주의와 인종주의를 정당화하는 정책이 자행된바 이는 인적자본 유출과 Global 영향력 감소로 이어져 단기 경기변동보다 장기적 국가경쟁력에 더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주요 美경제지표
미국의 올해 3월 ISM(공급관리협회) 제조업 PMI(구매 관리자지수)는 49.0으로 전월(50.3)대비 하락하면서 3개월 만에 확장의 기준인 50을 하회한다. 세부항목 가운데 고용과 신규수주(受注)가 모두 하락(각각 47.6→44.7, 48.6→45.2)하고 투입비용의 경우 큰 폭 상승한다(62.4→69.4). 전반적인 제조업 활동이 감소하는 가운데 물가지수들이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Stagflation의 현실화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美연준이 적절한 통화정책을 시행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올해 2월 美구인(救人)건수는 756.8만 건으로 전월(776.2만 건) 및 예상(765.8만 건)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한다. 부문별로는 소매업, 숙박부문에서 구인건수가 크게 감소한다. 전문가들은 상호관세 등 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의 투자계획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아울러 퇴사건수는 전월대비 6.1만 건 감소한바 이는 향후 경기 불확실성과 고용여건 악화 등으로 노동자들이 퇴사에 소극적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유로 존 소비자물가
유로 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올해 3월 소비자물가의 연간 상승률은 2.2%로 전월(2.3%)대비 둔화한다. 근원치의 경우도 전월대비 하락한다(2.6%→2.4%). 이는 에너지가격 하락 등에 기인하며 특히 정책당국이 주목하는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둔화한다(3.7%→3.4%). 이와 관련 시장에서는 ECB(유럽중앙은행)의 금리인하 여력의 강화라고 평가한다. ECB의 렌 위원도 인플레이션이 예상에 부합한다면 이달 4월에 금리인하를 시행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中차이신 제조업 PMI
올해 3월 中차이신 제조업 PMI(Purchasing Manager` Index)는 전월대비 상승(50.8→51.2)한 가운데 6개월 연속 확장의 기준 50을 상회한다. 세부항목 가운데 신규수주(受注), 수출, 신규고용 등이 호조(好調)이다. 다만 일부에서는 자국 내 수요가 아직 부진하고 미국發 상호관세에 따른 부정적 여파 등이 향후 경기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