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yesterday (edited)
  • 조카 데리고 센터 갔다가 끝나고 카페에 있는 중, 한산하고 잉여로우니 좋구만,
  • 요즘은 제미나이 딥리서치랑 이모 저모 생성이랑 자료 가지고 노는게 재미있다. 왕창 쌓아둔 자료 가지고 이리 저리 변환시키고 ㅎㅏ면서 노는 재미. 만족스러우누 자료로 변형될까 엉뚱한 것으로 변하나 보는 재미.

알렉산더 테크닉 이야기

means-whereby 어떤 행위를 , 되고, 그것으로 인해서 어떤 결과를 내면, 그것이 올바르다고 몸에 안착하게 된다. 그것이 불필요한 긴장등의 사이드 이펙트를 내더라도.. 그것으로 인해 기존의 만들어진 감각 패턴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습관을 가져오면, 틀리다는 느낌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새로운 방식을 반영해, 올바르려 할 수록 습관이 반복되는 이유다. 올바르려고 할 수록 기존의 몸의 올바르다는 느낌대로 하게 된다. 그래서 목적으로 돌진하려는 엔드게이닝을 멈추고(자제, inhibition)하고, 새로운 방향(디렉션)으로 가도록 요청하고, 불필요한 애씀이 없는 허용함(non-doing)을 통해서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지속적으로 깨어 있고, 멈추고 방향을 제시하되, 자극에 목적에 집착하는 것을 내려놓고, 새로운 방향으로 의도를 세운다.

CleanShot 2025-07-07 at 16.48.00@2x.png

Sort:  

@centering, This post is fantastic! I love the blend of personal downtime with your nephew and your deep dive into AI tools like Gemini and generative models. It's fascinating to hear how you're experimenting with data transformation and the thrill of seeing unexpected outcomes.

The Alexander Technique insights are particularly insightful! The explanation of "means-whereby" and breaking ingrained habits resonates deeply. The concept of inhibiting end-gaining and embracing "non-doing" to allow for new directions is a powerful idea. It's a great reminder to stay present and consciously guide our intentions. Thanks for sharing your thoughts and experiences! What unexpected data transformation has surprised you the most l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