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하 전망과 Stagflation 여부
증시낙관론을 이끈 AI(Artificial Intellect)호황은 전체 경제와의 괴리(乖離)가 존재한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 고용둔화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美연준은 연내 2회 금리인하 예상하고 美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금리인하 등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다가올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美기업의 실적전망 편차 확대는 실적침체의 초기신호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증시낙관론과 AI호황
최근 S&P 500지수가 인공지능 기대 등으로 연이어 사상 최고를 경신한다. 또한 근래 인공지능 자본지출의 급증이 경기성장을 유도하리라는 기대감도 팽배(澎湃)해진 상황이다.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증시의 과열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으며 AI 등 특정부문의 호황이 경제전반의 높은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실제로 경제의 약 90%를 차지하는 주택, 소비, 정부지출 등은 정체(停滯)상태이다. 특히 주택경기 둔화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은 소비부진을 초래하고 있다. 美정책당국이 주가의 지속적인 상승에만 몰입한 나머지 노동시장 둔화 등 실물경제 문제의 극복을 위한 신속한 대응에 나서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에 주의가 요구된다. Morgan Stanley는 내년에도 美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이 예상되므로 주가가 하락하면 이는 매수의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한다. 한편 UBS는 증시에서 단기적으론 고평가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선 여전히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한다. Goldman Sachs는 세계 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비(非)이성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한다.
연내 美금리인하 예상
美연준 주요 인사인 美카쉬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경기가 둔화되고 있으며 이에 단기간 내 금리인하가 적절한 결정일 수 있다고 언급한다. 구체적으로 연내 2회의 금리인하를 예상하지만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의 증가 영향이 확인된다면 이를 반영하여 금리인하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美연준의 쿡 이사는 올해 7월 고용보고서 결과가 고용이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내 다소 우려스럽다고 발언한다. 아울러 최근의 경우와 같이 고용결과가 이후에 큰 폭으로 조정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경제부문 변곡의 신호일 수 있다고 부연한다. 차기 연준 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美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美연준이 금리결정을 정치와 연결시키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례로 관세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로 美연준이 금리를 동결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한다.
美Stagflation 가능성
미국의 올해 7월 신규고용이 상당히 부진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증가하면서 美연준의 양대 목표인 최대고용과 물가안정이 모두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특히 美노동시장은 7월 실업자 증가와 노동참여율 감소(ˋ22년래 최저) 등으로 심각한 국면임을 시사한다. 이에 물가상승 우려에도 오는 9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의 금리인하가 예상된다. 아울러 재정적자 증가, 고율관세로 인해 물가상승 압력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여건에서는 장기국채 금리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는 경제가 침체국면으로 빠르게 진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970년대 Stagflation 상황에서 추세적 금리인상(약 3년)도 인플레이션 억제에 충분하지 않았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Goldman Sachs는 미국의 경기침체 진입 가능성이 30% 수준으로 경고신호를 보내고 있다.
美기업의 실적전망 편차
美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실적 예측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 4월 이후 평균 이익전망치는 상승한 상황이지만 동시에 전망치의 편차도 확대되어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역사적으로 실적 성장기에 예측의 정확도가 높지만 변곡점에서는 정확도가 하락한다. 일례로 닷컴버블 붕괴, 금융위기, Pandemic 당시 예측편차(偏差)가 확대된바 있다. `22년 기술주의 주가조정 이후 감소한 편차가 최근 다시 확대되는데 이는 경기 및 기업환경 악화의 신호일 소지가 있다. 아울러 주가수익비율(PER)이 22배에 이르는 S&P500 지수에 대해서도 고평가 여부를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