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미국의 위기와 안전자산 역할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개별적인 상황의 이해를 통해 향후 증시혼란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美경제는 정부지출 축소(Spending Cuts)를 통한 금리하락 동반되지 않으면 장기성장 둔화가 불가피하며 美금리인하 예측의 강화는 경기악화 신호로 관련 여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美채권 및 주식가격 추이(推移)는 투자자의 상반(相反)된 경기전망을 시사(示唆)한다. 또한 미국이 심각한 재정적자 및 부채증가 등의 위기에 직면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전통적인 안전자산 역할
美주가의 하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채권과 금(金)가격은 상승하나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내 본연의 역할에 미진(未盡)하다. 이에 각각의 안전자산 속성을 이해한 Portfolio 구축(構築)이 요구된다. 채권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기인한 금융위기 대응에 부적합하다. ˋ22년 금리급등 시 채권과 주식의 동반(同伴)매도가 발생한다. 美달러화는 그 동안의 대규모 해외투자금액 유입으로 여전히 고평가 상태로 보이며 경제혼란 시 자금유출(流出)을 同伴한 가치하락이 예상한다. 금은 달러화와 인플레이션 위험의 대체수단으로 이미 많은 수요를 창출한다. 이에 단기적으로 급등한 金가격은 극심한 경기침체(ˋ08년 금융위기 당시 약 30% 급락) 발생 시 위험에 노출(露出)될 소지가 있다.
美채권과 주식의 가격推移
대선 이후 2년 물 美국채금리가 30bp 하락하는 등 채권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우려를 반영한다. 반면 주요 주가지수는 올해 3월 급락 이후 일부 회복한 상황이며 투자자들은 기술주에서 필수소비재 등 경기방어주로 방향을 전환한다. 이처럼 증시에서는 성장둔화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적 시나리오에 맞춰 가격이 형성된 반면 채권시장은 경기침체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어 두 시장 간 견해차가 극명(克明)하다. 다만 트럼프 관세정책이 전면적으로 시행되고 이에 대한 보복조치가 본격화 된다면 투자심리 위축(萎縮) 등으로 시장 전반에 Risk가 증폭될 전망이다.
美장기성장과 금리
美연방정부 지출은 GDP의 23%인데 세수는 17% 수준에 불과하여 재정적자가 심화한다. 이는 장기간 대규모 외국자금 유입에 따른 저금리에 의존하여 정부가 지출을 확대한 때문이다. 하지만 향후 무역마찰 등으로 외국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으면 금리상승과 정부의 급격한 부채부담 증가가 발생할 전망이다. 아울러 정부의 부채증가로 재정건전성 우려가 증폭된다면 금리가 상승해도 외국으로부터의 자금유입 확대는 기대난이다. 이를 감안할 시 지출삭감 혹은 세수확충을 통한 재정건전성 강화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결국 고금리 장기화가 이어지면서 경제성장도 둔화국면을 지속할 우려가 있다. 참고로 2023년 기준 美부채는 GDP의 122.3%이다(2018년 105%). 그리고 2025.3.5.일 기준 美총국가부채는 36.2조 달러(5경 1,404조원)이다.
심각한 미국의 위기
미국의 재정적자는 GDP의 6% 이상으로 매우 높음에도 美의회는 차입확대와 감세법률 연장을 추진한다. 이는 성공할 경우 향후 30년간 국가부채는 40조 달러(5경 6,800조원) 증가하고 부채는 GDP대비 200%를 넘을 전망이다. 한편 관세수입은 재정균형을 맞추는 데 턱없이 부족하고 연방의 인건비 감축(減縮)도 효과가 미미하다. 이런 정부지출 삭감은 실질적인 절감효과 없이 공공서비스 악화를 초래한다. 현실적 해결책은 세금인상과 신중한 지출삭감의 병행이며 美의회가 신속하게 나서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경제적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美금리인하 예측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존재하지만 美선물시장에서는 美연준의 금리인하 폭이 이전보다 확대될 수 있다는 신호를 발신한다. 이는 인플레이션보다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둔화 전망과 소비자신뢰의 하락도 이를 뒷받침한다. 美연준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시적이라는 평가는 오류(誤謬)일 수 있고 이에 Stagflation(경기침체하의 물가상승) 대응도 적절하게 추진하지 못할 가능성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신흥국 역시 미국의 새로운 보호주의(Protectionism)와 불확실성 등의 위험에 대비가 요구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