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티드 헌터에 대한 최근 논쟁들에 대해
오늘은 에어드랍은 생략하고 본론에 들어가보겠습니다.
-톤 버전 크립티드 헌터는 제게는 참 아쉬웠던 게임입니다.
뭔가 더 올라갈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장벽에
부딪혀서 곧 서비스가 종료가 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는 데요.
그 장벽이 여기서도 불이 붙는 것 같아 한번 의견을 남겨봅니다.
- 첫째로 UI 완성도에 관련된 부분
톤 버전은 초기 완성도가 너무 낮아서 그거 수정하는 데에만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그것 때문에 유입도 많이 들어오기도 힘들었고요.
초기 유저들이야 지금 스팀 버전이면 적응하고 플레이하지만 스팀 버전도
단독으로 봤을 땐 완성도가 더 올라와야 될 거 같습니다.
- 두번째 진입 장벽에 대한 부분
톤 버전도 마찬가지였지만 게임 자체가 정보를 파악하면서 플레이
하기가 무척 불편입니다. 튜토리얼이 있으면 좋겠다고 커뮤에
남긴 적이 있는 데 개발이 어려워서인지 적용이 안되고 톤 버전은
마무리되게 되네요. 스팀 버전에서는 툴팁이라도 여러 부분에 표시
해 주는 게 좋을 듯 합니다.
- 세번째 컨텐츠에 관련된 부분
톤 버전을 플레이하면서 룰렛이나 복권 같은 컨텐츠는 성공이라고
보기 힘들었습니다.초기 빼고 지속적으로 참여한 유저는 거의 없는 듯
했고요. 컨텐츠에 관한 고민도 해보셔야 합니다.
게임이라 하면 하는 재미는 당연히 있어야 됩니다.
스캠 논란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봅시다.
스캠 칠 프로젝트라면 스팀 버전까지 내놓으면서 서비스
할까요. 스캠 코인들은 전형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끼 상품 출시,NFT 발행 등 낚시한 후에 한탕 챙기고 튀어요.
아니면 클레임으로 장난을 치던가...
크립티드 헌터는 게임의 완성도에서는 아쉬웠어도
그런 장난을 친적이 없습니다.
- 확률 가챠 게임인지라 멘징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염두에 두라고 이전 글들에 몇번 쓴 적이 있습니다.
이 게임은 지금보다 앞으로의 업데이트를 더 지켜봐야 됩니다.
사실 그래서 저는 TCG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 편이기도 하고요.
모든 판단은 본인이 내려야 하는 게 맞습니다.
-크립티드 헌터팀에서 고민을 많이 해보셔야 할듯 합니다.
TCG에 관련된 운영,체인 성공에 관련된 고민
스팀 버전 크립티드 헌터에 관련된 완전히 새로운 단독의
청사진,완성도거기에 이번 논쟁까지...
무엇에 집중해야할 지 잘 판단하셔서 잘 풀리길 바라며
오늘은 이만 마무리할게요. 참 정제하면서 글을 쓰려다보니
생략되는 표현들이 많았습니다...
- 저는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유저들이 잘되기를
바랍니다.
This post has been selected and upvoted by the Steemit Curation Team as part of our efforts to support quality content on the platform.
Curated by: Cryptid Hunter Team x Booming02 account
Project: Cryptid Hunter x Steemit Curation
🌟 Every week, 7 high-quality posts are selected for additional Upvotes through this program.
💬 Engage with other users on Steemit and try to receive even more support — comments and interaction are highly recommended!
Cryptid Hunter: https://steem.cryptohunter.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