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박두(開封迫頭) - [시네마테크] "프레임워크" 실험영화 월례상영회 - '군부르 넬슨 추모전' (2025.03.27)


[시네마테크] "프레임워크" 실험영화 월례상영회 - '군부르 넬슨 추모전'


“프레임워크”는 2022년 시작한 서울아트시네마의 정기 프로그램으로, 극장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실험영화사의 중요한 작품들을 정기적으로 소개하는 기획입니다.
2025년 상반기에는 올해 1월 세상을 떠난 스웨덴 출신의 실험 영화작가 군부르 넬슨(1931. 7. 28 ~ 2025. 1. 6)의 추모 상영을 시작으로, 70년대 독립 영화의 걸작 <밤과 낮>의 잔니 카스타놀리의 작품들, 그리고 탄생 백주년을 맞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작가 아돌파스 메카스의 대표작을 상영합니다.

군부르 넬슨 Gunvor Nelson (1931-2025)

실험 영화의 선구자인 군부르 넬슨은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1953년에 미국으로 이주하여 훔볼트 주립대학,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오클랜드의 밀스 대학에서 수학하고 회화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 중반에 필름을 예술적 매체로 사용하여 일상적인 이미지와 소리를 카메라로 포착하고 현실과 꿈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결합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여성적 이상과 그들이 처한 냉혹한 현실 사이의 대조를 그린 <슈미르군츠>(1966)와 1972년작 <벗다>는 페미니즘 실험 영화의 고전으로 꼽힌다.
그녀의 작품은 소리와 움직이는 이미지의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탐구를 통해 어린 시절, 노화, 이산, 기억, 여성의 역할, 죽음, 자연과 물의 상징적 힘과 같이 이해하기 어렵고 내밀한 주제를 조명한다.

  • 기간 : 2025년 03월 27일(목) 19:30
  • 상영관 : 서울아트시네마
  • 티켓가격 : 일반 9,000원, 단체 7,000원, 청소년/경로/장애인 6,000원, 관객회원 5,000원

출처 : 시네마테크 프로그램 소개

상영작

슈미르군츠

    * 실험
    * 미국
    * 15분
    * 15세이상 관람가

미국 중산층의 획일화된 일상, 특히 가정 주부의 미디어 속 재현을 유머러스하게 풍자한 작품.
제목 “슈미르군츠”는 스웨덴 출신인 감독의 아버지가 ‘샌드위치(smörgås)’를 달리 부르는 말에서 따왔다.


내 이름은 우나

    * 다큐멘터리
    * 미국
    * 10분
    * 15세이상 관람가

감독의 딸인 9살의 우나 넬슨은 꿈과 같은 상황과 풍경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자각하기 시작한다.


벗다

    * 실험
    * 미국
    * 10분
    * 15세이상 관람가

여성의 신체를 카메라 앞에서 전시하는 연출은 조르주 멜리에스 때부터 계속해서 이어져왔다.
감독은 스트립 댄서의 공연을 유머러스하게 재편집하여 여성 신체의 재현 방법에 문제를 제기한다.


달빛이 비추는

    * 실험
    * 미국
    * 15분
    * 15세이상 관람가

군부르 넬슨은 이 영화에서 바다의 이미지에 주목한다.
일렁이며 빛을 어지럽게 반사하는 물의 이미지 속에서 나의 정체성과 감정은 매순간 변화한다.


세월

    * 실험
    * 미국
    * 28분
    * 15세이상 관람가

군부르 넬슨은 고향인 스웨덴으로 돌아가 일종의 로드무비를 만든다.
시골 마을의 소박한 풍경이 기록된 필름 위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자 풍경은 더욱 생동감을 얻기 시작한다.
감독이 1987년에 만든 <세월>에 새로운 장면을 추가하여 만든 작품.


임종

    * 실험
    * 미국
    * 6분
    * 15세이상 관람가

감독은 침대에 누워 있는 자신의 어머니 카린을 찍는다.
노년에 이르러 쇠약해진 어머니의 얼굴과 몸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가운데, 감독은 시간의 흐름과 죽음을 생각한다.



Layout provided by Steemit Enhancer hommage by ayogom

Sort:  

안녕하세요.
SteemitKorea팀에서 제공하는 'steemit-enhancer'를 사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선 사항이 있으면 언제나 저에게 연락을 주시면 되고,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https://cafe.naver.com/steemitkorea/425 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시 @응원해 가 포함이 되며, 악용시에는 모든 서비스에서 제외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 글은 SteemitKorea팀(@ayogom)님께서 저자이신 @peterpa님을 응원하는 글입니다.
소정의 보팅을 해드렸습니다 ^^ 항상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SteemitKorea팀에서는 보다 즐거운 steemit 생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다음날 다시 한번 포스팅을 통해 소개 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