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 이후의 삶

in #avle-pool16 days ago (edited)

예술.jpeg

Self Portrait 1919

마흔 살과 쉰 살 사이의 십 년은 감정이 풍부한 사람들과 예술가들에게는 언제나 힘겨운 세월이다. 마음이 불안하고 삶과 자기 자신을 적절히 조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종종 불만족에 시달리는 시기다. 그렇지만 그다음에는 편안한 시간이 다가온다. 나는 그것을 나 자신에게서만 느끼지 않았고 다른 많은 사람에게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속이 부글부글 끓어 오르고 심한 가슴앓이를 하는 젊음이 아름다웠던 것처럼 나이를 먹어가는 것과 성숙해가는 것에도 아름다움과 기쁨이 있다. 1955년
 
쉰과 여든 사이에는 그 이전의 지난 수십 년간 경험한 것과 거의 비슷하게 아름다운 경험들을 많이 할 수 있다. 그러나 여든을 넘기는 것은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그후에는 더 이상 아름답지 않기 때문이다. 1930년

여든 가까이에서 당장 죽어도 이상하지 않을 노 신사의 지나온 세대 유감과 쉰 중반에서 죽음으로 다가가는 인생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를 적어둔 메모 둘, 이 사람은 1877년 태어난 사람이다. 1919년 자화상을 그릴 당시는 40대 초반이었다. 노년의 정신은 어찌됐든 넉넉해져야 한다.


헤세의 마음을 엿보다


시작하며 | 헤세의 연금술 | 뻐꾸기 소리는 배신하지 않는다. | 인내심 놀이 | 노인의 향기 | 50세 헤세의 유머 | 헤세가 죽기 전 날 밤 썼던 시 | 바람 결의 감촉 | 다시 시작하는 가을 몸맞이 | 내몸 아닌 내몸 같은 | 색채보다 감촉 | 닮은 꼴의 헤세와 융 | 방외 화가 두 사람의 풍경화 | 헤세가 사랑한 음악 1 | 헤세 정신의 곳간 | 요즈음 젊은 것들은...과 변화에 발맞추기 | 하리 할러의 꿈을 분석하며 (황야의 이리1) | 헤세의 아니마(황야의 이리2) | 왜 사냐면 웃어야지요(황야의 이리3) | 융의 분석심리학 적용 (황야의 이리4) | 융의 분석심리학 적용 (황야의 이리4) | 융의 분석심리학 적용 (황야의 이리4) | 괴로움과 번뇌속의 위안 | 기억의 가치 | 우주는 조바심에 가득차 있다 | 죽음에 관한 단상 | 가면 살이 | 백일홍 쇠퇴기 | 우주는 조바심에 가득차 있다2 | 인욕 바라밀과 쾌락의 줄다리기 | 죽음과 탄생 즐기기 | 부드러운 오기 | 아름다운 이기주의 | 잡생각의 미학과 예술 | 노인이 되어가는 | 노년의 덕목 |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 | 예배당이 있는 곳 | 인플루언서란? | 기억의 궁전 | 마음 운용의 기술 | 그대로의 모습 | 그래도 은밀히 우리는 갈망한다.| 모두가 꽃 다운 일생이어야 함을 | 행복 | 흉몽(凶夢) | 익숙한 고통 | 나로 존재하는 법 | 휴식은 없다 | 문(門)을 통한 성찰 | 오 그처럼 늦은 밤 | 소멸하기 때문에 가장 진귀하고 아름다운 것임을 | 나나 잘하세요 | 정흥기(正興起)의 시대 | 존엄성(尊嚴性)의 의미 | 단계 | 참여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