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2곳씩 망한다. 건설업 줄도산 공포
지방 중견 건설사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등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업계에서는 내수 경기 회복과 고용 창출
을 위해 지방 건설 생태계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모니터링 평가에 따르면 전체 보증거래업체 가운데 38.9%
가 부실 위험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지방 건설사다.
지역 주택시장 침체와 더불어 원자재·인건비 인상으로 공사원가 상승, 미분양과 미
수금이 급증해 건설사의 재무 건전성악화가 원인이다. 올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 9곳 중 6곳이 지방 업체다.
건설업 종사자도 줄었다. 7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중
83%가량이 지방에 몰려 있다. 건설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 균형 발전과
함께 일자리와 연계투자를 늘려야 한다. 건설경기 부진이 경제성장률과 고용증가
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공사도 멈춰 서고 있다. 법정관리 신청으로 언제 공사가 재개될지
기약이 없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주택 분양보증을 받은 현장이다. HUG는
보증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법정관리 결과가 나와야 계속 사업 여부가 결정된다.
지방 주택시장 침체와 수요 감소로 시장이 회복되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지방에
일자리를 둔 직장인도 서울 아파트를 ‘영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올 6월 외지인
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두 배가량 증가했다. 한국은행도 올해 저성장의 핵심
원인으로 건설 부문 부진을 꼽았다. PF 사업은 옥석 가리기가 중요하다. 부실 PF
는 정리가 필요하다.
다주택자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침체한 지방 부동산 시장을 살
리려면 다주택자 중과세율을 없애야 한다.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해선 각종 세금감
면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본문 이미지: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