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채굴자의 기록] GPU Memory 2GB의 한계 (2019.09.16)

in #sct6 years ago

Ethash 라는 POW 채굴 알고리즘이 있다.

대표적인 코인은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 클래식(ETC).

그 외 Callisto, Ellaism, Expanse, Metaverse, MusiCoin, PIRL, Ubiq 등이 있다.

이 알고리즘을 채굴하는 프로그램은 DAG라는 커다란 덩어리의 자료를 GPU 메모리에 올려야 한다.

DAG = Directed Acyclic Graph

이게 뭔 말인지는 모른다. 다만 확실한 것은 시간이 갈 수록 DAG파일의 크기가 점점 늘어난다는 것이다.

현재
ETH의 대그파일 크기는 3.23GB
ETC의 대그파일 크기는 3.29GB
Music의 대그파일 크기는 2.48GB
...
그리고 최근에 CLO 대그파일이 1.90GB를 기록했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내 컴퓨터의 CLO 채굴은 멈추었다. 왜냐하면 내가 가진 GPU는 메모리 크기 2GB의 저가형이기 때문이다.

나에게 닥친 문제는 GPU를 놀리지 않기 위해 새로운 채굴 코인을 선택하는 것. 귀찮아

이런 경험에서 얻게된 의외의 정보: 1여년 후에, 즉 2020년 후반기에 이더의 대그파일이 4GB에 육박한다. 이더를 채굴하는 상당한 채굴자들의 GPU가 메모리 4GB이하일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채굴대란이 일어나지 않을까.

아, 그래서 이더는 POW에서 POS로 전환을 서두르는 거구나...

참고로 이대로 놔두면 10년 후에 필요한 메모리는 9GB를 넘어선다. 10년 후엔 과연 어떤 GPU로 채굴하고 있을런지...




[취미 채굴자의 기록] 채산성에 신경 끄고 버텨왔으나 (2019.06.22)
[취미 채굴자의 기록] 좋은 소식: 뜬금없는 선물 / 나쁜 소식: 크립토피아 파산 (2019.05.18)
[취미 채굴자의 기록] 그냥 말 그대로의, 2019년 3월 초의 기록
[취미 채굴자의 기록] 밀려나고 밀려난 끝의 선택은 투자인가 투기인가 (2019.01.30)

Sort:  

Congratulations @dj-on-steem!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more than 450 post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500 post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얼마전 부터 까마귀 채굴 수량이 반으로 줄었더니, 이것 영향이었나요?

그건 반감기때문 아닐까요? 어차피 그 코인이 Ethash 알고리즘도 아니구요

Posted using Partiko Android

곰돌이가 @dj-on-steem님의 소중한 댓글에 $0.022을 보팅해서 $0.018을 살려드리고 가요. 곰돌이가 지금까지 총 6516번 $74.259을 보팅해서 $84.550을 구했습니다. @gomdory 곰도뤼~

저도 반감기 때문에 반 정도로 줄었는지,
eth 채굴 어려움이 생기니, 같은 채굴풀에서 eth 채굴하던 사람이
까마귀 사냥으로 넘어온 것인지,
모르겠네요.

명확히 까마귀 채굴이 반감기 있었다는 말은 아직 못 보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