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숙 춘천교육대학교 2022050876 한국설화 서사 구성 원리로서의 공식적 표현 연구

in #research2 years ago

image.png

https://www.nrf.re.kr/biz/notice/view?menu_no=362&page=&nts_no=180388&biz_no=427&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박현숙
춘천교육대학교
2022050876
한국설화 서사 구성 원리로서의 공식적 표현 연구

접수과제정보
접수번호2022050876
연구요약문
연구목표
(한글 2000자 이내)
본 연구는 설화 구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상 속에서 구술문화 회복을 위한 생활현장에서의 설화 구연 활성화 방안 모색의 시의성에 기인하여 현대의 설화 향유자들이 이야기 수용·생성·전승을 병행하면서 이야기판을 역동적으로 생성해 낼 수 있는 자발성과 진정한 이야기 주인으로서의 주체성을 성장시켜 나갈 수 있는 설화 생성 및 구연의 이론적 토대와 실제적 방법론 모색하는 기초를 마련하여 이야기 구술문화 회복과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설화 전승 원리에 기반한 설화 생성․구연 기법의 기초 연구로서 구비문학의 전승 원리이며 서사 생성의 주요한 기법 중 하나인 공식적 표현(구비공식구(formula)․표현단락(theme))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공식적 표현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설화 생성 및 구연 방법론 모색을 위하여 한국설화의 공식적 표현 용례를 발굴․ 수집하고 단위별 용례의 결합 원리를 규명하여 한국설화의 공식적 표현(구비공식구(formula)․공식적 표현단락(theme))의 서사법칙을 발견하고 증명하고 설화 전승․서사 구성 원리를 밝히는 토대를 마련하여 공식적 표현의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길을 열고자 한다. 나아가 설화 구연의 계승과 창조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비공식구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한글 2000자 이내)
∘설화 구연의 계승과 창조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비공식구의 위상의 재정립
∘후속 연구와 구비문학 및 인접 학문 연구 저변의 기초자료
∘다양한 교육 분야에 교육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
∘현대 옛이야기꾼 및 설화 창작자 양성 구연․창작 역량 강화를 위한 설화 구연 및 창작 방법론 교재․프로그램 개발
∘대중성 있는 SNS 통해 설화 향유 대중화 기여
∘여러 문화콘텐츠 스토리 개발에서 특정 장면의 원천자료 활용
연구요약
(한글 2000자 이내)
설화의 주요한 전승 원리이자 서사구성, 생성, 표현의 원리 요소 중 하나인 공식적 표현은 설화 구연의 이론적 토대와 실제적 방법 모색의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공식적 표현 연구의 시원적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한국설화의 서사 구성에서 일정한 규칙에 의해 결합되는 특정 구비공식구, 공식적 표현단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용례의 결합 원리, 기능과 의미를 연차적으로 규명을 하고자 한다. 공식적 표현의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설화 생성, 구연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Albert B. Lord의 구비공식구 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귀납적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용례 수집, 명확한 용례 분석과 원리 규명의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실행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설화 생성․구연의 실제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자료 분석의 효율성과 집중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구 범위는 (1)《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집된 편수가 많고 널리 알려진 설화 유형군을 50개 이상을 우선 선정한다. (2)《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설화유형분류집》유형 분류에서 서사구조의 유사성은 지니되 서사분기점의 다른 변별자질로 유형이 달라진 설화를 검토 대상으로 삼는다.(3)유능한 이야기꾼들의 레퍼토리를 추가 검토 대상으로 삼는다.
한국설화의 서사 구성에서 결합되는 공식적 표현의 기초 자료 수집 및 분류, 분석 작업을 체계적으로 아래와 같이 진행하고자 한다.
①구전설화 채록집에서 검토 대상으로 선정한 설화 자료를 확보하여 목록화하고 한국설화의 다양한 공식적 표현의 용례를 탐색한다. ②단위별 공식적 표현의 대표 설화 유형을 선정하여 자료의 다각적 검색을 통해 단위별 공식적 표현의 용례를 수집하고 자질적 요소를 파악하여 표본 용례를 추출하여 데이터를 축적하고 도식화한다. ③공식적 표현 용례의 다양성과 근거의 타당성을 확보하여 결합원리를 규명한다. ④설화에 결합된 공식적 표현 용례별 기능과 의미를 규명한다. ⑤공식적 표현 용례를 설화 구연 현장에 적용하여 서사 구성에 용례 활용 방법을 모색한다.
이와 같이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는 한국설화의 특정 요건에서 결합되는 공식구 표현 용례의 결합 원리, 기능, 의미 규명의 성과는 한국설화의 공식적 표현(구비공식구(formula)․표현단락(theme)) 이론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 현대 이야기판에서의 설화 구연과 옛이야기 창작에서 활용 가능한 서사구성과 표현기법의 실제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Keyword)
(한글 250자 이내)
공식적 표현, 구비공식구, 공식적 표현단락, 공식구 결합원리, 설화 전승원리, 설화구성기법, 설화 표현기법
키워드
(영어 500자 이내)
formulaic expression, formula, theme, combinatorial principle of formula, the transmission principle of the folktales, composition techniques of folktales, expression techniques of folkt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