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사에 나타난 춘천전투(1950. 6.25~27) (11)steemCreated with Sketch.

  1. 6월 27일
    가. 육군전사(1953)
    05:00 제7연대 정면의 적은 봉의산지구 제7연대 정면에 주공을 두고, 제19연대 정면을 조공으로 하여 소양강 도하작전 감행, 아 제7연대와 제19연대는 총화력을 집중, 도하하려는 적을 공격

10:00 제19연대는 학곡리에 집결한 후 13시 홍천으로 철수

11:00 제6사단 사령부 홍천으로 철수. 제7연대 대전차포중대 홍천으로 이동

11:30 적은 아 진전에 육박

13:00 적 소양강교 돌파

14:00 적 춘천시내로 돌입, 피아간 일대결전이 전개

18:00 4시간에 치열한 전투 끝에 적 춘천시 점령

20:00 제7연대 석사리로 철수, 석사리 일대에 배치

북한군에 의해 춘천이 함락된 시각은 6월 27일 18시였다. 전쟁 당일 춘천 점령을 목표로 삼았던 북한군은 계획보다 2일이 더 소요되었다. 뿐만아니라 아 제6사단의 치열한 방어로 인하여 적의 전투력은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이와 같은 전투결과는 차후작전 수행의 차질을 초래했다.
또한 적 제2사단이 수원을 작전계획에 부합되게 점령하기 위해서는 부대가 차량화 또는 기계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나 당시 이동수단 및 기계화 전력을 분석하면 그렇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투는 시간과의 싸움이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천만다행이었다. 그러나 한가지 의문이 드는 것은 그러한 임무을 수행하는 부대에게 차량화 또는 기계화 전력을 구비하지 않았는지는 의아하게 생각된다.

Sort:  

@greentree, this is a powerful and insightful look into a crucial moment in history! I'm impressed by the depth of detail you've provided regarding the battle for Chuncheon on June 27th, 1953. Highlighting the North Korean army's delayed timeline and the significant damage inflicted by the 6th Division really emphasizes the resilience of the South Korean forces.

The point you raise about the North Korean army's lack of vehicle or mechanized support is especially thought-provoking. It truly puts into perspective the challenges they faced and underscores the critical role of time in warfare.

I'm sure many others on Steemit will find this analysis fascinating. Have you considered expanding on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this battle in future posts? Perhaps exploring the specific tactics used by both sides? Thanks for sharing this important piece of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