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y LogKWH 한국전쟁사한국전쟁에 관한 연구노트입니다. Study note on the Korean War HistorySubscribe New Post1,677subscribers$200pending rewards3active postersAll postsExplore CommunitiesTrending CommunitiesNewcomers' CommunitySteemit FeedbackSteemitCryptoAcademyআমার বাংলা ব্লগKorea • 한국 • KR • KOSTEEM CN/中文Steem AllianceWORLD OF XPILARAVLE 일상SCT.암호화폐.CryptoSteem POD TeamTron Fan ClubKWH 한국전쟁사TrendingHotNewPayoutsMutedkoreanwar17 (73)7 hour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9)9월 22일의 상황 아군 제1연대는 236고지 144.6고지, 200고지를 계속하여 공격 점령하고 사단 작명에 의거, 구산동(九山洞)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아군 제1기갑연대는 전진도로(前進道路)의 지뢰를…koreanwar17 (73)yesterday6.25사변 육군전사 4권(28)9월 20일~21일까지의 상황(요도 제9 참조) 9월 21일 아군 제1기갑연대에 의하여 안강으로부터 격퇴당한 적 약 1개 연대는 300고지 및 육통리, 노당리 북방의 무명고지에 집결하여 견고한 중화기 포진지를…greentree (84)2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7)(스물일곱번째) 선제타격계획24)koreanwar17 (73)2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7)그리고 아군 제1연대는 9월 17일 주력으로서 연대 정면의 목표를 점령하기 위하여 104고지(EQ526982), 110고지(EQ524986)를 공격하게 하였다. 9월 18일 동 연대 제2대대 및 제1대대는 전기…greentree (84)3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6)(스물여섯번째) 4. 수단과 방법 측면 수단과 방법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는 유무형적인 것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군사적 측면에서 유형적인 자산뿐만 아니라…koreanwar17 (73)3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6)(四) 전투 경과의 개요 9월 15일~19일까지의 상황(요도 제8 참조) 9월 15일 아 수도사단 제18연대 제1대대는 03:45 안강 남방 2㎞ 지점의 무명고지를 완전 점령하고 계속 전진중에 있었으며…greentree (84)4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5)(스물다섯번째) 당시 북한군 지휘부는 한국정부와 국군의 전쟁수행의지를 과소평가하고 전략적 환경변화를 예측하지 못했다. 전략적 환경변화를 예측했다면 군사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koreanwar17 (73)4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5)제2절 전투 경과의 개요 제1항 안강 기계 반격 전투 (一) 작전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작전 기간 중 초기에 있어서 연일(9월 19일경까지) 우천이 계속되어 항공지원을 받지 못한 아군은 공격에 불리하였다.…koreanwar17 (73)5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4)(4) 아군의 총반격 계획 단기 4283년 8월 15일부터 9월 15일 사이에 전국은 일진일퇴를 계속하였다. 그러나 낙동강 방어에 의한 궁형선의 아방의 병력은 나날이 증가되어 한국군 5개 사단을 위시하여 미군…koreanwar17 (73)6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3)(3) 아군의 소질 및 사기 안강 기계지구 본 전투지구에 투입된 아군 제7사단 및 제3사단 예하 부대들은 역전의 전통을 가진 부대로써 전투력이 우수하고 강력한 전투의지와 적개심(敵愾心)이 풍부하였다. 그러나…greentree (84)7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4)(스물네번째) 전쟁수행 잠재력을 가진 남한의 주요 지역을 점령하지 못한 상황에서 6월 28일 오전에 서울을 점령하고 시간을 허비한 것은 북한군 지휘부가 영토 점령의 의미를 망각하고 있었다고 밖에 볼 수 없다.…koreanwar17 (73)7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2)(2) 아군의 병력 및 장비 안강 기계지구 (가) 병력 : 50,000명 (나) 장비 81밀리 박격포 24문 60밀리 박격포 32문 57밀리 무반동총 7문 3.5인치 로켓포 40문 105밀리 유탄포…greentree (84)8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3)(스물세번째) 그러나 북한군 제1군단과 제2군단은 국군을 격멸시키지 못했다. 국군의 지휘체계가 무너지고 한강 이북의 전투력이 흩어져 버린 것은 총참모장 지시로 한강교가 파괴되었기 때문이었다. 한강교가 파괴되어…koreanwar17 (73)8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1)(5) 적의 능력 안강 기계지구 괴뢰 제12, 제5, 제7사단의 일부 병력은 아군의 공세 이전으로 인한 맹공으로 그들의 최후 발악적인 공격 기도가 좌절됨에 안강 후방 고지 일대에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아군…greentree (84)9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2)(스물두번째) 북한군 제1군단은 6월 28일 서울을 점령했다. 제1군단에 의해 서울이 점령되었으나 국군 주력 격멸은 제2군단의 협조 없이는 매무 제한적이었다. 제1군단이 제2군단의 협조 없이 서울을 점령했지만…koreanwar17 (73)10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20)(4) 적의 사기 안강 기계지구 적은 기성 사단으로서 전투에 경험이 풍부한 다수의 고참병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최후 공방전에서 패전의 상태에 빠진 이후로는 사기 점차로 저하되었다. 포항지구 전기 안강 기계…koreanwar17 (73)11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19)(2) 병력 안강 기계지구 패잔병 약 15,000명 포항지구 패잔병 약 11,000명 강릉 주문진 지구 패잔병 약 20,000명 낙동강 지구 패잔병 미상 미원지구 패잔병 미상 보은지구 패잔병 약…greentree (84)12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1)(스물한번째)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측면에서 북한군이 군사목표로 선정한 국군의 주력 격멸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제타격계획을 자세히 살펴보면 북한군은 제1단계 작전에서 서울 점령과 국군 주력 격멸을…koreanwar17 (73)12 days ago6.25사변 육군전사 4권(18)제2항 작전 전의 피아의 태세 (一) 적의 상황 (1) 적의 구성 및 병력 안강, 기계지구 괴뢰군 제2군단 군단장 중장 김무정 제7사단 사단장 소장 이익성 제12사단 사단장 소장 최충국 제5사단…greentree (84)13 days ago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0)(스무번째) 3. 군사목표 측면 군사목표는 정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명확하고 결정적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목표가 목적 달성에 필수불가결한 것인지를 심사숙고해야 한다. 그런 다음 전투력이 조화롭게 목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