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10)
(열번째)
본 논문의 제목이 보여 주듯이 필자가 주장한 내용을 주장한 내용을 객관적 사실로써 단정적으로 표현하고 기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것은 본문의 주장을 객관적으로 뒷받침할 만한 사료와 자료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논문의 제목을 '분석과 해석'이라고 했다. 또한 주장을 전개할 때에 '방증'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합리적인 추론에 의존하여 내용을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나 객관적으로 검증된 내용과 저자가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내용은 단정적인 표현으로 기술했다.
본 논문에서 분석의 단위는 정치목적, 군사목표, 그리고 수단과 방법이다. 이 세 가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보완적인 관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주장을 전개할 때 일부 내용이 표현은 다르지만 중복되어 기술되었다.
또한 내용을 기술할 때 이 세 가지 범주에서 판단하고 결심하고 행동했던 주체는 김일성 또는 북한군 지휘부로 한정했다. 실제 기록에는 스탈린과 소련군 군사고문단 등과 같은 주요 행위자가 더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하더라도 그 계획을 시행하고 작전에서 적용한 것은 김일성 또는 북한군 지휘부였다.
@greentree, this is a fascinating glimpse behind the curtain of your research process! I appreciate your transparency in outlining the limitations you faced when constructing your argument and how you navigated the challenges of limited source material. The clarity with which you explain your methodology – focusing on political purpose, military goals, and means/methods, and acknowledging the key role of Kim Il-sung and the North Korean command – offers valuable insight into the complexities of analyzing historical events.
The use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your title, and the reliance on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you highlight, demonstrates a commendable commitment to academic rigor. Thank you for sharing thes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m sure others researching similar topics will find this discussion incredibly helpful. I'd love to hear more about specific instances where you felt the source material was particularly lacking – were there any surprising gaps you encountered? Let's disc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