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위협과 주요국 최근 경제지표
미국의 작년 4/4분기 GDP(Gross Domestic Product)는 전기(前期)대비 증가세가 둔화하나 양호한 수준의 소비지출은 지속된다. 美관세위협은 실제이행 여부와 무관하게 인플레이션 및 경제에 부정적이다. 그리고 미국의 對멕시코 및 캐나다 관세부과는 자국 산업에 역효과 초래할 소지가 있다. 한편 ECB(European Central Bank) 올해 1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인플레이션 및 경기 둔화 등을 반영하여 주요 정책금리를 인하한다. 또 유로 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작년 4/4분기 GDP가 독일과 프랑스의 역성장 등으로 예상치를 하회한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주요 美경제지표(GDP)
전기(前期)대비 기준 미국의 작년 4/4분기 GDP는 2.3%(속보치, 연율) 늘어 3/4분기(3.1%) 대비 증가세는 둔화한다. 다만 GDP의 2/3 이상을 차지하는 소비지출은 양호한 노동시장의 영향 등으로 4.2% 증가한다. 이는 ‵23년 초 이후 최대 폭 증가율이며 자동차 판매 등에 기인(起因)한다. 작년의 연간 GDP 증가율은 2.8%로 집계된다. 작년 4/4분기 PCE (개인소비지출,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물가지수는 2.3% 올라 3/4분기(1.5%)대비 상승세가 강화되고 근원치도 유사한 흐름을 시현한다(2.2%→2.5%). 시장에서는 이번 GDP 결과로 美연준의 통화정책이 과도하게 제약적이지 않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연준은 당분간 관망이 예상된다. 허나 일부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강화 및 대규모 불법이민자 추방의지 등을 고려한다면 금년 하반기엔 성장둔화와 물가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아울러 특정정책의 전망이 경제주체의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실제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美경제와 관세위협
美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관세부과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물가상승도 우려한다. 이에 소비자들과 기업들은 일부 상품을 비축(備蓄)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는 단기적인 수요증가와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작년 12월 중국의 對美 수출증가가 이를 방증(傍證)한다. 이런 선제적 대응은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美연준의 금리인하를 더욱 지연(遲延)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또한 관세부문 불확실성으로 소비자들이 예방적 차원의 저축을 늘리고 있어 소비지출이 둔화될 소지도 있다. 결과적으로 관세위협은 실제로 시행되지 않더라도 경기약화를 유도할 우려가 있다.
美관세부과 역효과
美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산 자동차 및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 자동차 수입의 절반을 차지하는 양국으로부터의 공급차질이 불가피하다. 이에 차량가격이 평균 3,000달러 오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관세부과는 제조업 활성화보다 산업전반에 손실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일각에선 트럼프의 실제 목표가 더 유리한 조건에서 멕시코와 캐나다와의 USMCA 재협상에 나서기 위한 의도라고 분석한다.
ECB 정책금리 인하
ECB는 올해 1월 통화정책회의에서 인플레이션 및 경기 둔화 등을 반영하여 주요 정책금리(수신금리: 3.00%→2.75%, 리파이낸싱금리: 3.15%→2.9%, 한계대출금리: 3.40%→3.15%)를 25bp 인하한다. 성명서에서 디스인플레이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나 통화정책은 제약적이고 자금조달 여건이 어렵다고 평가한다. 다만 실질소득 증가로 수요도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는 한편 당분간 금리인하가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한편 시장에선 금년 100bp의 금리인하를 예상하지만 올해 3월 이후엔 금리인하 속도가 다소 느려질 수도 있다.
유로 존의 GDP
유로 존(유로화 사용 20개국) 4/4분기 GDP(Gross Domestic Product)는 0.4%로 전기(前期)대비 보합이며 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한다. 특히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역내 주요국인 독일(−0.2%)과 프랑스(−0.1%)의 역성장 때문이다. 산업경쟁력 약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재정여건도 취약하여 향후 전망도 불확실하다는 의견이 다수이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https://steemit.com/trending/hive-124908 의 경제와 투자에 관한 커뮤니티에 글을 써주셨으면 합니다. 경제와 투자에 대한 자료를 한군데에 모아서 보기 쉽도록 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