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중세 브라 4벌과 가슴 튼살치료
오스트리아 동 티롤의 렝베르크 성은 흰색 회칠, 비스듬한 회색 지붕, 네모반듯한 구조가 특징이며 울창한 계곡 분지에 방어용 둔덕을 쌓고 세운 12세기 궁전이다. 2012년 복원 공사에 참여한 인부들은 15세기에 만든 바닥 널을 수리하다가 비밀 금고를 발견했다. 오래 살아남은 옷이 보관되었는데 어깨끈이 달린 중세 브래지어 네 벌이 있었다. 그때까지 브라가 20세기의 산물이라는 생각이 절대적이었기 때문이다.
브래지어는 끈이 있을 뿐 아니라 가슴을 감싸는 형태라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고대 로마의 가슴 튜브와 다르다. 렝베르크 성에서 발견된 브래지어가 14세기에 의사 앙리 드 몽드빌Henri de Mondeville이 말했던 속옷과 같은 것일까? 그는 “어떤 여자들은 가슴을 보정하고 꽉 조이기 위해 드레스 안에 주머니 두 개를 넣는다. 매일 아침(가슴을) 그 주머니에 넣고 거기에 달린 밴드로 가능한 만큼 조인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원더브라 Wonderbra(풍만함을 더하기 위해 가슴을 모으고 끌어 올려주는 브래지어의 상표명)이 600년 전에 존재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중세 여성 속옷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최근 역사학자들은 중세의 팬티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허리끈이 달린 속옷 하의 두 벌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의문은 이 속옷을 입은 사람이 남성인가 여성인가 하는 점이다. 남성이 입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까닭은 여성의 속바지에 대한 그 시대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구약성서 이사야서 64장 6절의 더러운 옷을 생리용 천으로 옮긴 번역도 드물게 존재하지만 그러한 번역이 중세 관습을 반영한 것인지, 고대 유대 관습을 반영한 것인지는 알수 없다.
소소한 일상의 대단한 역사, 그레그 제너 지음, 서정아 옮김, 와이즈베리, 페이지 257-258
그리스·로마 시대 : 고대 사회의 여성이 긴 천이나 가죽 밴드로 가슴을 두르는 형태의 아포대즘(apodesm)이 존재했다.
1900년대 : 1907년 패션 잡지 VOGUE 10월호에서 '브래지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1930년대 : 패턴화되어 Warner Brothers사에 의해 오늘날 사용하는 A,B,C 컵 사이즈가 나왔다.
이 당시에는 자연스러움을 매우 중요시했기 때문에 컵이 없는 형태로 유두가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형태의 브래지어가 존재했다.
1950년대 : 와이어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원형의 와이어가 가슴을 동그랗게 보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1960년대 : 프랑스의 혁신 섬유인 라이크라(lycra)와 리버스레이스(leavers lace)의 사용으로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브래지어가 등장했다. 여성해방운동이로 노브라(no-bra)를 주장하며 브래지어를 소각하는 행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2009년 12월에는 미국에서 유방암의 결정적인 원인이 브래지어착용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하였다. 가슴을 받쳐주고 모아주는 금속 와이어가 노폐물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림프의 흐름을 막기 때문에 브래지어를 24시간 착용한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이 전혀 착용하지 않는 여성보다 125배나 높다는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여성들은 무려 98%가 브래지어를 착용하며 66~80%는 24시간 착용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연구 결과에 대한 충격이 더욱 컸다.
브라의 역사를 찾아보니 1887년 영국에서 실크천과 철사로 초보적인 브라가 만들어졌다고 한다. 중세에 있던 것이 근대에 잊혀졌다가 다시 부활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가슴은 여성미의 상징임을 부인할 수 없고 최근 시상식이나 여배우들의 가슴골 노출도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슴에 튼살이 있으면 무척 낭패가 아닐수 없다.
강남역 4번출구 자향미한의원 02-3482-9975에서는 현대 여성미의 상징인 가슴에 생긴 진피 부위의 튼살을 ST침으로 치료한다.
Warning! This user is on my black list, likely as a known plagiarist, spammer or ID thief. Please be cautious with this post!
To get off this list, please chat with us in the #steemitabuse-appeals channel in steemit.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