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대원제국, 오타기 마쓰오, 몽골, 거란제국 요, 12세기 남북관계, 금나라, 송나라, 아구타, 연운16주, 요순, 금세종, 장종, 정복왕조, 한인세후, 세법, 여진

in #kr4 years ago

중국의 역사, 대원제국, 오타기 마쓰오, 몽골, 거란제국 요, 12세기 남북관계, 금나라, 송나라, 아구타, 연운16주, 요순, 금세종, 장종, 정복왕조, 한인세후, 세법, 여진

대원제국의 통치대상이 되었던 중국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췄다. 이 시기의 역사는 중국적 관점에서 말하자면 기존의 중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던 문명사적 자화상들이 몽골의 역동적 힘에 의해 철저히 흔들렸던 사람들의 이야기다. 크게 몽골제국 성립 이전의 거란, 여진 등의 북방왕조, 몽골제국의 성립과 중국 지배과정, 그리고 대원제국의 중국 통치 양상 등의 세 부분으로 나눠서 서술되어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_ 대원제국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제1장 몽골제국 전사 - 북방민족왕조

  1. 정복왕조의 출현과 제2차 남북조 정국
    거란제국 요의 성립|내지의 16주도 거란 영토로|끈질긴 중원제패의 야망|정복왕조의 탄생과 그 성격|남북조(제2차) 대립으로|전연의 맹 - 거란·송 대등관계로
  2. 12세기의 남북관계-금과 남송
    여진족 금의 남진|정강의 변과 소흥화의|해릉왕-그 인물과 행적|금국 재정의 궁핍|작은 요순 세종의 치세|장종 시기, 금 문화의 황금시대
  3. 몽골의 출현과 제2차 남북조의 종말
    금국 북변방비의 파탄|정우의 남천-몽골의 금국 침공|몽골의 서역 원정|금·송의 멸망과 몽골의 천하통일|대원제국의 특이성

제2장 몽골제국의 속령지배시대

  1. 한지의 간접통치
    정복왕조로의 과정|한인세후의 출현|한인세후의 공과|간접통치관 다루가치|다루가치의 직무 범위
  2. 한지 직접통치로의 움직임
    세법의 창설|두 차례에 걸친 호구조사|한지세법의 제정과 의의|일족 공신에게 한인호 분봉-오호사호의 출현|한지의 군사지배-미완의 정복왕조
  3. 속령 한지에 만연한 불일치 현상
    중원의 황폐와 부흥|재정의 난맥|이슬람 상인의 활동-매박과 알탈전|행정의 일원화와 행상서성|행상서성과 『동방견문록』

제3장 쿠빌라이 카안

  1. 쿠빌라이 카안의 즉위
    톨루이 가문의 사람들|한지·서역으로의 비상한 관심|형 뭉케 카안의 즉위|한지대총독 쿠빌라이|남송 공략과 뭉케의 사망|쿠빌라이의 즉위 선언
  2. 칭기스칸 제국의 대분열
    우구데이 가문의 쇠퇴|젊은 카이두의 대두|카이두 칸의 반란|한정된 대원제국의 영역
  3. 대원 정복왕조와 그 확대
    원의 성립과 국가기구|한인세후의 세력 약화|원·남송의 관계 악화|애산에서 남송을 멸망시키다|남해무역의 확대와 호상 포수경|남해 여러 나라의 복속
  4. 대원과 고려·일본
    고려의 완전 종속 |일본 원정 실패|일본 원정의 진의

제4장 대원의 중국통치

  1. 기본적 자세
    몽골·한인의 합체정치|대원 체제에 대한 강남의 위화감|한지·한인과의 제휴 강화|율령 시행의 거부|몽골법으로의 고집
  2. 통치기구
    관청의 우두머리는 모두 몽골인이다|분할통치기관-행성·행대·행원|로 제도의 부활-중층적 감독정치
  3. 관료·속리 제도
    정관과 수령관|과거의 폐지|과거의 저속판-이원세공제

제5장 대원의 경제정책과 경제사정

  1. 세제와 재정
    남과 북의 서로 다른 세법|당·송에서 시작된 소금전매|염세의 역할 |정복왕조다운 국계수지
  2. 일원적 통화정책
    중통초의 발행|지폐의 성공과 동전 본위제의 포기|교초의 유통과 정체
  3. 전국 경제권의 부활과 그 실태
    소생하는 대운하와 해운의 발달|강남 물자의 활발한 움직임|대도 남문의 번화로움|장강 델타의 부유함|쓸쓸한 하남

제6장 대원의 사회와 문화

  1. 종족별 신분 규정
    몽골인·색목인·한인·남인|한문화인에 대한 대항-색목인의 중용|본속법-이국인의 자치 허용|색목인의 한화에는 징벌
  2. 문벌주의
    엄격한 근각 관계|종족적 신분규정의 초월|독특한 요역법=제색호계|군호의 취급
  3. 문화담당 계급의 변질
    사대부의 비명|옛 사대부 계층의 몰락|새로운 관인층의 낮은 교양|관인층의 고정화 현상
  4. 시대문화의 동향
    도적의 수령을 칭송하는 심정|고고한 정신의 발생|관인문화와 서민문화의 접합|참군희에 나타난 저속성|문예·학술·사상의 타락

제7장 대원의 마지막 길

  1. 이상이 없는 정치
    쿠빌라이 카안의 기리독무|정복왕조의 기본적 체질|끊임없는 권력투쟁|황제 옹립의 공|수구체제
  2. 원말의 반란
    하남행성의 백련교도|동란의 단서-한산동과 한림아의 반란|반란집단 ‘홍건군’의 성쇠|진·주·장 등 3웅의 정립|대원의 자멸
참고문헌 연 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