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전략과 고령화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618451
"
[단독] 보고서 하나 남기고 사라졌다…고령화 앞둔 대한민국, 교통 전략은 실종[新교통난민 보고서]③
인구감소, 고령화에 빈집까지 늘었는데 교통 정책 그대로
전문가들이 국가 교통 행정의 대전환을 강조하는 배경에는 교통 수요층이 급속히 바뀌고 있다는 데 있다. 인구가 가장 밀집한 서울만 하더라도 2016년 인구수 1000만명 선이 무너진 뒤 매년 감소, 지난해에는 933만명까지 내려앉았다. 전반적인 인구감소 외 집값급등이라는 변수로 서울시민이 경기도와 인천으로 밀려난 점도 눈에 띈다. 다만 경기권 인구 증가를 감안하더라도 수도권 전체 인구수는 감소세를 피하지 못했다.
인구수 감소와 함께 고령화도 가속화했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19세 이하 서울시민은 119만7536명으로, 70세 이상 서울시민(121만2605명)보다도 적다. 서울시에 청소년·어린이보다 70세 이상 어르신이 더 많은 셈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기준 인구 19.8%(184만명)가 65세를 넘어서면서 7월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40년에는 65세 이상 비율이 3명 중 1명(31.6%)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수도권 교통 정책은 '이동'에만 초점을 맞춰 수립됐다.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 모두 수도권 교통 정책의 핵심을 'GTX' 확장에 맞췄다. GTX-A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GTX-D·E·F 노선 추진에 집중했고 지방에도 광역급행철도(x-TX)를 도입하는 방안을 내놨다.
"
인구는 고령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정부는 GTX처럼
오랜 기간이 걸리는 SOC사업에 집중하고 있죠
이 기사는 시리즈로 만든것 같은데요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618453?type=journalists
5번에 보면 전체 교통정책에 대한 부분이 있긴합니다
여기에서 보면 GTX 노선은 대한 내용이 들어가고....
그 다음이 폐선되고 있는 시외 고속버스 노선에
대한 지원이라던가...
자율주행관련 지원이라던가 있는데요
도시화와 관련된 중요한 정책은 사실
K-UAM이란 부분입니다
계획의 년도는 이미 지나.... 상용화시기를 지났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늦춰졌지만 조금씩 진행중이라고
하는데요
우선 그 중에서 제일 앞서가는 회사가
조비 에비에이션이라는 회사입니다
UAM이란게 날아다니려면.... 비행기 취급을 받기
때문에 미국의 FAA(미국의 연방항공청)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모든 비행기가 개발단계와 시험비행단계에서
FAA의 기준을 통과해야만 실제로 상업용으로
날아다닐수 있게 되는데요
비행체들의 기본 조건 같은 그런 기관이라고 합니다
하여간.... 새로운 종류의 비행체라서
허가를 아직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아직 100%는 아니란걸 볼수 있죠
하지만 곧 끝날것 같기는합니다
이번년도 안에는 시험도 끝내고 상용화에 들어갈
예정이라니.... 기대해봐야겠죠
UAM이라는게 중요한 이유는 기체만 있다면
(물론 초기단계에는 비행사가 타겠지만...)
자율주행이고 비행기라서 출발하고 꽤 짧은
시간안에 도착지까지 도착할수 있다는 점이
겠지요
지금은 아라뱃길쪽으로 노선을 잡아놨지만
만일 일산쪽에서 탑승해서 강남까지 도착으로
잡는다고 치면.... 기존에 버스타고 지하철타고
갈아타고 하는 시간에 비하면.....
눈깜짝할 사이에 도착한다고 봐야겠죠
이런 속도의 교통수단이란건...
지금 문제가 된 병원까지의 연결수단에 대한
좋은 해결수단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좋은 병원에 가깝게 있으면 좋지만
모든 의사가 모든 지역에 있다는건
꽤나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누구는 헬기를 타고 서울온것
처럼....
빠르게 좋은 병원에 올수 있다면
지역에 꼭 모든 전문 병원이 필요한것
은 아닙니다
엠뷸런스가 도착해서 병원까지 도착하는
시간은 생각보다 길게 걸리죠
그래서 골든타임이라고 부르는데요
그 골든타임을 줄일수 있는게 헬기였지만
아무곳에나 내릴수도 없고 늘 바빠서
사용하기 어려운 수단이었죠
그런데 UAM이 상용화 된다면 ....
병원이 가까이 없는 시골에서도
바로 UAM을 이용해서 도심지의 응급실로
빠른 시간내에 도착이 가능하다는거죠
가까운곳에 마트가 없는 시골에서도
노인분들이 마트가 있는 곳까지 쉽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도농간 격차도
줄어들게 된다는 것이죠
물론 빨대 효과가 될수도 있지만
멀리까지 가도 대치동의 학원을 다닐수
있다면 꼭 서울 시내로 진입하려고 할까요?
수원에 있어도 강남까지 출퇴근에 10분이라면.....
사람들을 더 멀리까지 분산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겠죠
장기적으로는 GTX같은 교통수단도 좋겠지만
기술이 된다면.... UAM같은걸 바로 도입해서
그 효과를 바로 볼수 있는 그런 방식도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