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8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2025년 7월 8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올 더위 심상찮다... 온열질환자 83% 폭증 → 올들어 800명을 넘어서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3% 늘어. 사망자도 7명으로 지난해 3명 대비 2배 이상. 진안군 구봉산, 영덕군 팔각산에서 등산객 연이어 사망 사고.(세계)
‘군함도’ 유네스코 의제 불발... 투표전 끝 일본에 패배 → 일본이 ‘군함도’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며 약속했던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는 것이 미흡해 이를 유네스코에 정식 의제로 채택하려 했으나 표결에서 한국측 3표, 일본측 7표(기권 8표, 무효 3표)로 한국 완패.(국민)
‘북한 뷰’ 민통선 안 스타벅스… 7개월새 12만3000명 다녀가 → 김포 애기봉 스타벅스, 북한 개풍군 전망... 국내외 관광객들 사이에서 입소문. 예약과 검문을 거쳐야 하고, 운영 시간도 일반 매장보다 짧지만(10시~오후 4시 30분) 인기.(문화)
기업 전기 요금, 최근 3년간 사용량은 13% 증가했는데 요금은 70% 급증 → 한전 적자 해소 위해 가정용 대신 산업용 전기요금만 집중적으로 올린 결과.(아시아경제)
영국은 ‘풍력발전’이 제1 전원 → 지난해 처음으로 전체 발전원 중 가장 높은 30%의 비중을 차지. 이 중 절반 이상이 해생 풍력. 비용도 가스 발전보다 저렴. 이에 힘입어 풍력을 비롯 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의 51%까지 올라.(아시아 경제)
초강력 대출 규제, 열흘도 되지 않아 시장 반응 → 대책 전 일주일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 1629건에서 대책 후 577건으로 64.5% 감소. 매매가격 상승률도 0.40%로 전주(0.43%) 대비 소폭 감소, 상승 주도하던 강남권과 용산, 성동, 강동 등 상승 폭이 일제히 감소.(헤럴드경제)
‘韓 잠재성장률’ 첫 1%대 전망 → OECD, 1.9% 전망. 이는 OECD에 가입한 1996년 이래 최저, 그러나 G7 중 미국(2.1%)보다는 낮지만 캐나다(1.7%), 이탈리아(1.3%), 영국(1.2%), 프랑스(1.0%), 독일(0.5%), 일본(0.2%)보다는 높아.(세계)
민간자격증 정리 필요하다... 7년째 공회전 → 취업하려 딴 ‘자격증’ 한 달 만에 없어지기도. 1년에 6천 개 새 자격증 생기고 2000개 폐지. 필라테스 한 분야 자격증만 1438개, 드론은 646개. 학원, 취업보장 광고했지만 관리 부실로 몇 달 만에 폐지, 600만 원 수강료 날리기도.(매경)
부산 어린 자매 화재 비극, ‘노후·저가 멀티탭’ 때문? → 1차 현장 감식에선 최초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2구 멀티탭에 함께 연결돼 있었고, 해당 멀티탭 전선에서는 피복이 벗겨진 단락 현상 발견돼. 작년 콘센트 화재 504건... 증가세.(문화)
부산이~/ 부산은~ → ‘부산이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와 ‘부산은 대한민국의 제2의 도시다’는 엄밀히 의미에서 차이가 있다. 앞 문장은 ‘부산’을 강조한다. 대구도 아니고 광주도 아니고 바로 ‘부산’이 그렇다는 뜻을 드러낸다. 반면 뒤 문장은 ‘제2의 도시’라는 점을 강조한다. 흔히 ‘-이(가)/-은(는)이 다 주격조사인 줄 알지만, 정확히는 ‘-이(가)’만 주격조사이고 ‘-은(는)’은 보조사다. 보조사란 체언(명사) 등에 붙어 어떤 특별한 의미를 보충해 주는 조사다.(한경, 열려라 우리말)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