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11] AI 섹터별 실적

AI 섹터별 실적 및 밸류에이션 비교(키움증권)


엔비디아가 최근 기업 역사상 최초로 장중 시가총액 4 조 달러를 돌파했다. 이처럼 AI 산업의 핵심 기업이 주가를 이끄는 배경에는 생성형 AI,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 그리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AI 내 모든 섹터의 성장률이 좋은 것은 아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2024 년 1 월 대비 어플리케이션 가속기 섹터는 +96%의 증가율로 가장 두드러졌고, 인프라 소프트웨어(+92%), 하이퍼스케일러(+73%), 반도체(+56%), 역시 증가세가 강했다. 반면, 응용 소프트웨어(+38%)와 하드웨어(+21%)는 상대적으로 아쉬운 성과를 기록했다. 이처럼 AI 내에서도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섹터별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적 모멘텀이 뚜렷하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적은 하이퍼스케일러 섹터가 2025 년 하반기에도 추가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을 기대할 수 있는 최우선 투자처로 판단
2 분기 어닝시즌을 맞아 AI 관련 기업들의 구조적 성장성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I 테마 내에서 이익 모멘텀이 존재하는 동시에 실적 대비 주가 부담이 높지 않은 종목군들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AI 섹터별 EPS 성장률 추이를 보면 하이퍼스케일러>반도체>어플가속기 순으로 성장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하이퍼스케일 섹터 내부로 보면 엔비디아>아마존>메타>알파벳>MS 순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M7 가운데 PER 기준으로는 알파벳이 가장 좋은 밸류에이션을 가지고 있는 것 같고, '25년 추정 성잘률 기준으로 마이크론이 상당히 눈에 띄고 있고 나머지 S/W 기업들에 대한 성장률도 상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AI 기업 섹터별/개별기업 EPS 성장률 기준으로 투자 매력도를 판단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07873648645096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와, @seraphim502님! 정말 시의적절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네요! 엔비디아의 시총 4조 달러 돌파 소식과 함께, AI 섹터별 실적과 밸류에이션을 꼼꼼하게 비교해주시니 투자 인사이트가 팍팍 와닿습니다. 특히 하이퍼스케일러 섹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2분기 어닝시즌을 맞아 이익 모멘텀과 밸류에이션 부담을 고려한 종목 선별 전략은 정말 유용하네요.

EPS 성장률 추이와 M7 기업들의 PER 비교 분석까지!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니, AI 투자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오히려 긍정적인 기대감이 샘솟습니다. 덕분에 오늘 하루도 활기차게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함께 의견 나눠보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