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415] 휴머노이드ETF 신규상장(KODEX)

오늘은 신규상장하는 휴머노이드 관련 ETF 3번째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
미국 휴머노이드 및 부품사,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과 그에 투자하는
기업을 키워드 방식으로 선정 후, 휴머노이드 관련도를 반영한 조정
시가총액 가중으로 투자하는 패시브 ETF

일단 해당 ETF의 특징은 패시브형이며 휴머노이드 관련 부품사 및 S/W 관련 기업들이 포함되었다는 점이 되겠습니다.

현재 신규 출시가 된 3개의 ETF는 아래와 같습니다.

KODEX와 RISE는 패시브형, PLUS는 액티브형이며 총 보수는 대부분 0.4~0.45% 수준인 것 같습니다.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0038A0)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키워드를 자연어처리(NLP)로 필터링하여 유니버스 구성 후 다음 4가지 분야로 분류.
1)휴머노이드 개발 및 생산 기업,
2)로봇 소프트웨어,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 및 생산 기업,
3)로봇 부품, 하드웨어 개발 및 생산 기업,
4)휴머노이드 개발/생산 기업에 투자한 기업

▶조정 시가총액 가중방식(산업분류별 가중치를 반영한 시가총액)으로 편입 비중을 산출

▶Physical AI로의 성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은 Physical AI의 종착지가 될 것으로 예상. 최대 장점은 ‘범용성’으로 단일 디자인으로 여러 용도, 다양한 환경에 높은 대응력 지님
▶휴머노이드 시장이 향후 10년간 약 27배 커질 전망인 가운데, 해당 산업의 주도권은 아직 미국이 잡고 있음. AI 기술력 및 적극적인 투자로 산업 성장의 핵심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는 판단
▶따라서, 포트폴리오는 테슬라 및 엔비디아 등이 이끄는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주도력을 확인할 수 있는 종목들로 구성. 즉, 기술 경쟁력(지능형 로봇)과 자본력(AI와 플랫폼, 휴머노이드 개발/투자)이 뛰어난 기업들 선별

▶ 테슬라/엔비디아/아마존 Top 3 종목 비중이 각각 Cap 상한인 15%까지 투자되어 있음 (총 45%).
즉, 미국 휴머노이드 산업 성장을 선도하고 있는 테슬라/엔비디아 비중을 30%까지 투자하면서도 이외 휴머노이드 개발/투자(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AI/플랫폼(팔란티어, 알파벳 등), 합동/물류 로봇(인튜이티브 서지컬, 테라다인 등), 부품(RBC 베어링스, Timken 등)에 분산

▶ 빅테크(테슬라, 엔비디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메타) 비중이 총 59%로 과반 이상(2025.04.15 기준)

->해당 ETF는 미국 휴머노이드 산업 밸류체인(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투자하는 패시브 ETF로서 테슬라,엔비디아,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 비중이 60% 가량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휴머노이드 관련한 생태계 기업들을 편입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향후 휴머노이드 관련 업종의 성장성이 빠르게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므로 관련산업에 투자하는 ETF들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1.35777618347398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