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315] 변동성 투자 관련 퀀트리포트(IBK투자증권)#3

오늘도 어제에 이어 퀀트리포트를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국내 증시 변동성 관련 정보 프로파일링

코스피 지수의 특징

우리나라 산업과 경제 구조의 특성상 해외 이슈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미국 증시와 관련된 이슈들이 국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로인해서 우리나라의 (시가-종가) 수익률과 (종가-다음날 시가)의 평균적인 수익률에는 큰 차이가 나타난다. 미국 증시에 정보가 반영되는 시간대인 (종가- 다음날 시가)의 평균적인 수익률은 우리나라 장중 시간대인 (시가-종가) 시간대 대비 큰 수익률을 가진다.

->이것은 상당히 재미있는 통계 데이터인 것 같습니다.
미국 증시 관련한 이슈로 인해 종가-시가 가격이 항상 우위를 가진다는 설명입니다. 즉, 아침 시작시에는 갭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가 되겠네요. 장중에는 한국 증시의 약세이슈 혹은 미국 선물시장의 이슈로 인해 하락할 가능성이 높음

미국 증시에 대한 긍정적인 정보가 시가에 반영될 때, 과도한 반응(Over Reaction)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

미국의 나스닥 지수에서는 장중과 오버나잇 수익률에 차이에 대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본의 토픽스 지수도 오버나잇 수익률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우리나라 대비 강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들이 결국 우리나라의 경제 구조가 해외 이슈에 민감하고, 정보를 반영할 때 과도한 반응으로 이어진다는 판단

->이것이 2가지 심리편향 중 하나인 과신에 해당되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코스피 200 지수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지만 몇 가지 유의할 것은 지수 ETF를 통해서 이러한 전략이 구현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거래비용과 트래킹 에러를 고려했을 때 ETF를 통한 (종가-다음날 시가) 거래는 권장하지 않는다.

->ETF 거래는 거래비용과 트래킹 에러를 고려했을 때 오버나잇의 장점이 나타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장중 코스피 변동의 특징

장중 5분단위의 기간에서 코스피 수익률은 시간대에 따른 다른 특징을 보인다. 장 개장 직후 코스피 지수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다가 시간이 갈수록 변동성이 낮아지는 흐름을 보인다. 다만, 동시호가 30분 이전부터 재차 변동성이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다 동시호가에 진입하는 특징이 있다.
추가로, 시간대 별로 코스피 지수가 가지는 모멘텀 흐름이 있는지 살펴봤을 때 다른 시간대 대비 개장후 30분, 그리고 장종료 한시간 부근에서 다른 시간대 대비 높은 모멘텀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서 살펴본 대로 장중 기대할 수 있는 기대 수익은 낮고 시그널이 강하지 않지만, 지수 민감도가 높은 종목들에 대한 롱 포지션의 모멘텀 플레이는 해당 시간대에 진행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단타 거래를 주로 많이 하시는 분들은 이미 알고 계신 부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일중 거래시 가장 모멘텀이 활발한 시간대는 장개시 후 30분, 장조료 1시간전부터 정도가 되겠습니다.


-일별 코스피 변동성 특징

경제학에서는 증시가 하락하는 시기에 변동성이 커지는 효과를 레버리지 효과(Leverage Effect)라고 부른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자본(Equity)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어 기업 재무구조에서 레버리지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변동성이 커진다는 주장이다. 코스피의 일 평균 수익률과 변동성도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증시가 하락할 때 이론상 기업 재무구조의 레버리지가 커지는 효과(자본/자산 비율이 줄어듦)가 생기고 이로 인한 변동성이 커지므로 이것을 레버리지 효과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낮은 변동성 국면에서는 0.74%의 일별 변동성을 가지지만 국면 2에서는 1.73%의 일별 변동성을 가진다.

해당 자료에 대한 비교국면 예시는 불분명하지만 변동성이 높으면 평균 수익률은 낮아지는 특징을 가진다는 데이터는 눈에 띄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코스피 시장의 변동성 측면의 다양한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주말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ort: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36.72690137470549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