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소사(2.13)

in #dblog8 days ago

1994
시인 김남주 사망
시인. 유신헌법이 선포되자 이강(李綱) 등과 전국 최초로 반(反)유신 지하신문인《함성》을 제작했다. 그의 시는 강렬함과 전투적인 이미지들이 주조를 이루며 주요 작품으로 《나의 칼 나의 피》 등이 있다. 1946년 10월 16일 전라남도 해남군 봉학리에서 태어났다.

1984
소련 공산당중앙위원회, 체르넨코를 새 서기장으로 선출
러시아의 정치가. 몰다비아 중앙위원회 선전부장으로 있다가 L.I.브레즈네프에게 발탁되었다. 브레즈네프의 지원하에 차기 정권 후계자로 주목을 받았으나 Y.V.안드로포프에게 서기장직을 빼앗겼다. 안드로포프가 죽자 1984년 2월 소련공산당 서기장, 4월 소련 최고회의 간부 1931년 공산당에 입당하고,

1974
소련, 솔제니친 추방
러시아의 소설가. 옛소련의 인권탄압을 기록한 《수용소 군도》로 인해 반역죄로 추방되어 20년간이나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한 '러시아의 양심'으로 불려지는 작가이다. 1970년 《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Odin den’ Ivana Denisovicha》,《암병동 Rakovy korpus》등의 작품

1969
위장간첩 이수근 체포 발표
판문점을 통하여 위장귀순하였던 이수근이 그 정체가 드러나 해외로 도주하다 체포된 사건. 당시 간첩으로 지목된 이수근은 2008년 12월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수근은 당시 북한 중앙통신사 부사장으로 있으면서 조선노동당 대남사업총책 이효순으로부터 위장월남 귀순하라는 지령을 받고, 1967년 3월 22일 판문점에서

1967
청마 유치환 사망
한국의 시인이자 교육자. 교육과 시작을 병행, 중·고교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통산 14권에 이르는 시집과 수상록을 간행하였다. 대표작으로는 허무와 낭만의 절규를 노래한 《깃발》을 비롯하여 《수(首)》 《절도(絶島)》등이 있다. 호 청마(靑馬). 경남 통영 출생. 유치진의 동생으로 통영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66
순정효황후 장례식
조선 제27대 왕인 순종의 비. 친일파들이 순종에게 합방조약에 날인할 것을 강요하자 옥새(국새)를 치마 속에 감추고 내놓지 않았으나 백부 윤덕영에게 강제로 빼앗겼다는 일화가 있다. 국권피탈 후 이왕비전하로 강칭되고 순종이 후사 없이 죽은 후 불교에 귀의하여 대지월 본관 해평(海平). 윤택영(尹澤榮)의 딸.

1961
민족일보 창간
1961년 약 3개월 동안 서울에서 발행되었던 혁신계 일간신문. 제2공화국 당시인 1961년 2월 일간신문으로 창간되었다. 남북협상과 남북간의 경제·서신 교류 실시 및 남북 학생회담 개최, 중립화 통일·민족자주통일의 추진 등 당시의 혁신계가 내세우고 있던 주장을 적극 지지하는 논조를 폈다.

1929
파나마 실질적 독재자 토리호스 출생
파나마의 정치가. 아르눌포 아리아스를 축출하고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군부 출신 독재자로서, 민주화를 주장하는 좌익 노동운동가와 학생운동을 억압하였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과감한 사회개혁 정책으로 빈민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얻었고, 미국과 파나마운하 1929년 산티아고데베라구아에서 출생하였다.

1910
트랜지스터 개발한 공학자 윌리엄 쇼클리 출생
미국의 물리학자. 고체의 에너지띠에 관련된 문제를 비롯하여, 합금의 질서와 무질서, 진공관의 이론, 구리의 자기확산, 전위의 이론, 강자성체의 자기구역에 관한 이론과 실험, 염화은의 광전자에 관한 실험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910년 2월 13일 영국 런던에서 출생하였다.

1907
여성운동가 에멀린 팽크허스트, 런던에서 부인참정권을 요구하는 데모 벌이다 체포
영국의 급진파 여성참정권론자이다. 여성사회정치동맹(WSPU)을 결성하여 여성참정권운동을 전개하였다. 잉글랜드 맨체스터 출생

1889
한국 독립운동가 신건식 출생
독립운동가. 황푸군관학교에 근무하며 대종교를 신봉했다. 1921년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 중, 압록강에서 체포되어 모진 고문 끝에 불구의 몸이 되었다. 이후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재무차관, 의정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광복 후 주중대표로 있다가 귀국했다. 호 삼강(三岡). 충청북도 청주(淸州) 출생.

1883
독일 작곡가 바그너 사망
독일의 작곡가. 오페라 외에도 거대한 규모의 악극을 여러 편 남겼는데 모든 대본을 손수 썼고 많은 음악론과 예술론을 집필했다. 예술론의 사상이 전 작품에 걸쳐 구현된 것은 아니지만 작품의 양식적 특색은 이 사상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겨난 것이다. 1813년 5월 22일 라이프치히에서 출생하였다.

787
신라 승려 혜초 사망
신라의 고승으로 금강지와 함께 《대승유가금강성해만주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珠實利千臂千鉢大敎王經)》이라는 밀교(密敎) 경전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