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상담 #19] 정신분석 상담 기법

in #counseling26 days ago

2.청소년심리.png

  1. 자유연상 (Free Association)
    정의: 내담자가 떠오르는 생각, 느낌, 기억을 검열 없이 자유롭게 말하도록 유도하는 기법
    목적: 무의식적 갈등이나 억압된 기억이 언어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유연상을 통해 말의 단절, 주제의 회피, 반복되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무의식의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상담자의 역할: 상담자는 내담자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경청하면서 패턴과 의미를 포착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해석해 준다.

  2. 꿈 분석 (Dream Analysis)
    정의: 꿈을 무의식의 상징적 표현으로 보고, 꿈에 나타난 이미지나 장면의 의미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목적: 꿈은 억압된 욕망과 감정이 상징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이를 해석함으로써 내담자가 인식하지 못했던 무의식의 갈등이나 소망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망치는 꿈’은 현실에서 피하고 싶은 문제를 반영할 수 있으며, ‘무너지는 집’은 자아의 붕괴나 변화의 두려움을 상징할 수 있다.
    상담자의 역할: 꿈의 내용과 내담자의 정서 반응을 연결 지어 해석하며, 꿈을 삶의 상징적 이야기로 풀어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3. 전이 분석 (Transference Analysis)
    정의: 내담자가 과거 중요한 인물(부모, 교사 등)에게 느꼈던 감정을 상담자에게 옮겨서 느끼는 심리 현상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목적: 이전 관계에서 해결되지 못한 감정이 현재 상담자에게 반복되며 나타날 때, 그 감정을 통찰함으로써 과거의 상처와 갈등을 재구성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담자의 역할: 전이 감정을 수용하되 휘말리지 않으며, 감정의 본질을 명료하게 반영하고 해석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4. 해석 (Interpretation)
    정의: 상담자가 내담자의 언어, 행동, 감정 속에 숨어 있는 무의식적 의미나 갈등을 설명해주는 과정이다.
    목적: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경험을 이해하고 통찰하도록 돕는 핵심 기법입니다. 해석을 통해 무의식적 내용이 의식으로 올라오면 변화의 가능성이 생긴다.
    주의점: 해석은 적절한 타이밍과 충분한 관계 형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내담자가 감정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해석하면 방어기제가 강화될 수 있다.


꿈분석을 위해 관련 책도 읽어봤지만 너무 추상적이라 어렵게 느껴졌다. 책을 읽다가 벽을 느낀 것이 이때가 처음이었다. 나름 다독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커졌다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한참 멀었다. 부지런히 공부해야겠다.

Sort: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