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에 대하여} hydrominer 분석 -채굴 기업 편-

in #blockchain8 years ago

안녕하세요 @callihappiness입니다. hydrominer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여태까지 ICO 분석을 하다 보면 금융 플랫폼에 많은 비중이 치중되었습니다. 지금 분석할 기업은 금융플랫폼에 집중되기 보다는 블록체인의 기본인 증명 과정을 나타내는 채굴에 집중하는 기업을 분석해보기로했습니다. 이미 ICO 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떤 채굴 기업인지 알아보겠습니다.

aa2.png

채굴 기업이란 무엇인가?

다운로드 (7).jpg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채굴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업은 많다. 단적으로는 코스닥에 채굴기업으로 상장된 기업이 블록체인 시장의 성장으로 주식이 배가 된 경우를 따져 본다면 주위에 채굴기업은 상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의 경쟁력은 원가에 있다. 채굴하는데 들어가는 전기의 양이 바로 그 원가이다. 그런 점에서 중국은 성장할 수밖에 없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싼 가격의 전기료를 부가하는 중국을 상대하기에는 다른 나라에서 한계가 있고 그런점에서 중국은 블록체인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할 수 있던 것이다. 이렇듯 이미 나온 블록체인 속의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것을 채굴하는 것이 기업의 주 목적인 기업을 채굴 기업이라 할 수 있겠다.

다른 기업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가?

aa.png

위에서 말했듯이 전기료는 채굴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채산성이 아무리 낮아져도 전기료보다만 위라면 시장을 떠날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료는 결국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들은 장점을 가진다. 자연 에너지를 이용하는 센터를 통해 이더리움, 이더리움 클래식, ZEC 등 다양한 코인을 채굴한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전기료를 85%가량
낮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인 변동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시장에서 매우 높은 경쟁력을 갖는 유인이 된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이 하는 서비스는 자연친화적이라는 것을 내걸고 있다

이들의 서비스는 어디까지 진척되었는가?

a1.png

이들의 서비스가 시험단계라면 ICO에 참여하는 것은 이른 선택이다. 정말로 그정도의 전기료 감소가 발생하는지는 확인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은 이미 2개의 채굴장을 개설하여 충분히 낮은 전기료로 생산하고 있다고 표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ICO를 하는 이유는 보다 많은 채굴장을 건설하기 위해서다. 이들이건설하는 채굴장은 결국 높은 경쟁력으로 더 확장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렇게 얻은 수익을 ICO 에 참여하여 얻은 토큰을 통해 분배받거나 교환할 수 있다고 나와 있다. 채굴 기업이 이렇게 높은 경쟁력을 가진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줄 수 있고 더불어 이미 수익을 내고 있기에 더 높게 평가 가능하다 생각한다.

요약

다운로드 (8).jpg

채굴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원가이다. 왜냐하면 원가가 낮아야지만 충분히 시장 경쟁력을 갖추고 선두로 치고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유럽의 평균 전기료보다 85%나 낮은 이들의 전기료, 즉 원가는 상당히 경쟁력있고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더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가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ydrominer 페이지 링크 : https://www.hydrominer.org/
hydrominer FAQ 링크 : https://www.hydrominer.org/faq/


글이 맘에 드셨다면 팔로우와 보팅 부탁드립니당~


*단지 분석글입니다. 투자는 본인의 몫이니 주의하세요.

Sort:  

소개 감사합니다.
이런 류의 기업은 몇년전부터 있어왔는데, ICO를 통해 자금을 모집하고 토큰을 발행하는 건 저도 처음 보내요.
저도 채굴로 처음 이 세계에 들어왔는데, 이제 개인이 소규모로 운영하는 채굴은 채산성이 안나올것으로 보입니다. 점점 기업화 되겠죠.
백서를 보니 무엇보다 해쉬로 수익을 받는것이 아니라 전기용량을 기준으로 하는것이 참신했고, 투자자 입장에서 좀 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뭐 난이도 올라가면 다 어쩔 수 없겠지만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