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차례가 왔습니다, 당당한 모습 기대하겠습니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이른바 ‘브이아이피(VIP) 격노설’이 불거진 당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인정하면서, 같은 날 같은 번호의 전화를 받은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에게 이목이 쏠리고 있다. 당시 주 의원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이었다.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주 의원이 최근 ‘대여 공격수’를 자처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럴 시간에 800-7070이 누구였는지, 무슨 내용인지부터 먼저 기억해 내시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이 전 장관이 격노설 당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을 인정하자 화살을 주 의원에게 돌린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격노한 것으로 전해진 2023년 7월31일 오전 11시9분께,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은 ‘02-800-7070’ 번호로 걸려 온 전화를 받고 31초가량 통화를 했다. 이후 30여분 뒤 주 의원이 같은 번호로 전화를 받아 44초간 통화를 했다. 그로부터 다시 10분 뒤 이 전 장관에게 같은 번호로 전화가 갔고 2분48초가량 통화가 이뤄졌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안보실 회의에서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에 업무상 과실치사의 책임을 묻겠다는 해병대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뒤 격노했고,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날 세 차례 통화는 모두 회의 시작 뒤 이뤄졌다.
이 전 장관은 전화를 받은 뒤 채 상병 사건 이첩 보류와 언론브리핑 취소 등을 지시했는데, 이 번호가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걸려 온 것임이 처음으로 확인된 만큼, 주 의원을 비롯한 당시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의 통화 내용에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이다. 해당 번호의 통화가 유독 이날 짧은 시간 동안 집중된 터라,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전달한 통로로 지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 전 대통령실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은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고 인정한 바 있다.
주 의원은 누구와 통화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주 의원은 지난해 7월 한겨레에 “이 사건과 관련해 그 누구와도 통화한 사실이 없고 어떤 관여도 한 바 없다”며 “1년 전 통화라 당시 전화를 건 사람도, 통화 내용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지난 10일에도 국회에서 문화방송(MBC) 취재진으로부터 ‘당시 어떤 누구와 어떤 내용으로 통화를 하셨느냐’는 질문을 받았으나 답을 하지 않은 채 “다음에 정식으로 요청해서 하라”고 말했다. 이후 주 의원실 쪽은 “일정 조정 등 단순 업무 연락으로 이 사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냈다.
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을 지낸 분께서 그 날 통화에 대해 기억이 안 난다며 발뺌하고 철저히 침묵하면서, 남을 향해서만 비난의 화살을 퍼붓는 모습은 참으로 민망하다”며 “스스로가 무슨 자격으로 누구를 심판하고 누구를 조롱하려 드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비서관이 대통령과의 통화를 기억못한다면,
그 기억력으로는 공직에 있으면 안됩니다.
이런 무능력자가 더이상 공직에 있지 못하도록 국회의원 사퇴를 하는게
국민과 본인을 위한 선택일 것입니다.
아울러 서둘러 제대로된 치료를 받기를 권해드립니다.
혹시 어떤 불의의 병이 있는지 매우 걱정입니다.
꼭 사퇴하시고 치료받기를 원합니다.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