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게 팔면 문닫아야 하는 나라 한국
구독자 360만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가 운영한 팝업스토어 'ETF 베이커리'가 오는 7일까지만 영업한다. 지난달 개점 직후부터 '990원 소금빵'으로 화제를 모았지만 자영업자들의 거센 반발에 논란이 확산하자 결국 영업 중단을 결정했다.
슈카월드는 지난 5일 늦은 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공지를 통해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는 오는 9월7일 영업을 끝으로 잠시 문을 닫고 재정비의 시간을 갖고자 한다"라며 "운영 과정에서 부족했던 점으로 불편과 아쉬움을 드린 데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또 "지난달 30일 팝업 오픈 이후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보내주신 질책과 조언을 깊이 새겨 성숙한 모습으로 다시 찾아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ETF 베이커리는 서울 성수동 글로우서울과 협업해 지난달 30일 문을 연 팝업스토어다. 소금빵과 베이글을 990원, 식빵을 1990원, 깜빠뉴를 2990원에 판매하는 등 가격을 시중 빵집의 3분의 1 수준으로 책정해 첫날부터 긴 대기 행렬이 이어졌다. 일부 품목은 개점 2~3시간 만에 동나는 등 흥행했다.
하지만 싼 가격과 관련해 논란이 생겼다. 제빵업계 자영업자들은 버터 등 원재료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제빵 구조와 높은 임대료·인건비 현실을 무시한 가격 책정이라고 비판하고 일반 빵집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시중에서 소금빵은 3000원 안팎에 판매되고 있다.
이와 관련 슈카는 지난달 31일 유튜브 방송에서 "싼 빵을 만들면 모두 좋아할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슈카는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라며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고 강조했다.
ETF 베이커리의 영업 중단과 별개로 빵값 적정성 논란은 더 커질 전망이다.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빵값은 전년 동월 대비 6.5% 올라 전체 물가상승률(1.7%)을 크게 3배 넘게 웃돌았다. 미국·일본·유럽과 비교해 빵값이 지나치게 높다는 통계도 나왔다.
우리나라가 과연 자본주의가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누군가 나는 싸게 팔 수 있다 라는 생각에 판매를 시작하는 것이
왜 이런 비난의 대상이 되어야 합니까?
휴대폰 싸게 판다고 다같이 비싸게 사야한다는 법을 만들지를 않나,
이제는 빵 싸게 판다고 문을 닫게 만드는 일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그럼, 다같이 가격 올리고 낮은 가격은 장사 못하게 하겠다는 겁니까?
자영업의 현실이 아니라 현상황의 개선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 아닐까요?
정말 어이없는 우리나라, 한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