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취steemCreated with Sketch.

in AVLE 일상7 days ago

개미취
예쁘게 핀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개미취

개미취(Aster tataricus L.f.)
이미지 크게보기
학명
Aster tataricus L.f.
생물학적 분류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초롱꽃목(Campanulales)
과 : 국화과(Compositae)
속 : 참취속(Aster)
개화기
7월~10월
꽃색
하늘색 내지 연한 자주색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1.5m, 폭 2.5~3.3cm 정도
목차
분포
특징


열매
줄기
뿌리
생육환경
번식방법
재배특성
이용방안
보호방안
유사종
병충해 및 방제방법
병충해
분포
전국 산지에 분포

특징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2.5~3.3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고 화경은 길이 1.5~5cm로서 짧은 털이 밀생한다.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7mm, 나비 13~15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며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건막질이다. 혀꽃은 길이 16~17mm, 나비 3~3.5mm로서 하늘색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3mm 정도로서 털이 있고 관모는 길이 6mm 정도이다. 10~11월에 결실한다.

줄기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새싹이 돋아난다.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드는 계곡 주변이나 풀밭에 다른 잡초들과 섞여서 자란다.

•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배수가 잘 되는 유기질이 많은 비옥한 사질양토나 양토가 좋다. 내한성, 내서성, 내습성이 강한식물이다.

번식방법
• 삽목: 4~5월 새순을 6~8cm 잘라 모래에 꽂으면 20~25일 후 발근한다.

• 분주: 봄과 가을(난지)에 3~4년마다 실시한다.

재배특성
• 강건한 식물이라 재배가 용이하며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이나 습기가 많은 토양 모두 잘 자란다.

• 크기가 대형이고, 과다한 시비는 식물체를 도장하게 만들며 도복하기 쉽다.

• 본래 양지성 식물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란다.

• 연작의 피해가 심하므로 돌려짓기를 한다.

• 배합토는 부엽: 배양토: 모래를 3: 5: 2의 비율로 섞어 조제한다.

이용방안
• 쉽게 도장하여 도목하기 쉬우므로 조경용 소재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중부지방 자생의 개체를 척박지 녹화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절화용 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다.

• 식용으로는 매우 좋은 재료로서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개미취/좀개미취의 根 및 根莖을 (자원)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봄, 가을에 채취하여 莖葉이나 진흙을 떨어내고 햇볕에 말리던가 수염뿌리를 엮어 올려서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뿌리는 epifriedelanol, friedelin, shionone, astersaponin, quercetin을 함유하며, 精油(정유) 중에는 lachnophyllol, lachnophyllol acetate, anethole, 탄화수소, 지방산, 芳香族酸(방향족산) 등을 함유한다.
③ 약효: 溫肺(온폐), 下氣(하기), 消痰(소담),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風寒(풍한)에 의한 咳嗽(해수), 喘息(천식), 虛勞(허로)에 의한 咳嗽(해수)로 膿血(농혈)을 吐(토)하는 증상, 喉痺(후비), 小便不通(소변불통)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도 사용한다.

보호방안
전국에 분포하는 식물이나 지역에 따라서 독특한 개체들이 생육하므로 이들 고유의 특성을 지니는 개체들은 철저한 보호가 필요하다. 인공증식이 용이하므로 대량으로 증식하여 자원식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유사종
• 좀개미취 :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 벌개미취 : 경기, 전남, 경상도, 충청도에 분포, 높이 60~100cm, 6~10월에 개화하고 담자색, 지름 4~5cm,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모양으로 길이 12~19cm이다.

병충해 및 방제방법
병충해
진딧물의 발생이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습한 곳에선 뿌리썩음병이나 백견병이 발생하므로 방제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미취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