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Tech Update: 2025년 7월 27일의 주요 자료와 인사이트
타입 시스템을 활용하세요
https://www.dzombak.com/blog/2025/07/use-your-type-system/
프로그래밍에서 타입 시스템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일반적인 타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목적에 맞게 새로운 타입을 정의하여 컴파일 타임 오류로 실수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Go 라이브러리 libwx를 예로 들어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타입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Go #타입정의 #컴파일타임오류 #데이터의미구분 #프로그래밍실수_방지
WiX Toolset, 오픈소스 "유지보수 비용" 정책 도입
https://github.com/wixtoolset/issues/issues/8974
WiX Toolset 프로젝트는 장기적인 유지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Open Source Maintenance Fee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이 정책에 따라 소스 코드는 무료로 제공되지만, 이슈 등록, 의견 작성, 신규 릴리즈 다운로드 등 대부분의 작업에는 유지보수 비용이 적용됩니다. 특히, 프로젝트를 사용해 수익 창출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해당 비용을 납부해야 합니다. 비용 납부는 GitHub Sponsor를 통해 가능하며, 조직 규모에 따라 월 $10부터 $60까지의 비용이 부과됩니다.
#WiX_Toolset #Open_Source_Maintenance_Fee #GitHub_Sponsor #유지보수_비용 #라이선스
Rill - 데이터 레이크에서 대시보드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데 최적화된 BI 도구
https://github.com/rilldata/rill/
Rill은 자체 임베디드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밀리초 단위로 쿼리를 처리하고, 데이터 레이크의 대용량 데이터를 즉시 대시보드로 변환해주는 초고속 BI 플랫폼입니다. SQL과 YAML로 대시보드를 정의하고 Git을 통한 버전 관리 및 협업이 가능하며, Sveltekit & DuckDB 기반으로 로컬과 원격의 데이터 파일을 빠르게 처리합니다. Rill은 복잡성 감소, 비용 절감, 실시간 탐색 등에서 기존 BI 툴 대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Rill #BI-as-code #데이터_레이크 #대시보드 #SQL
앱을 다운로드하지 말고 웹사이트를 사용하세요
https://idiallo.com/blog/dont-download-apps
이 글은 앱 설치를 강요하는 기업들의 행태와 그 뒤에 숨은 데이터 수집 목적을 비판하며, 웹사이트 사용을 통해 프라이버시와 사용자 통제권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앱은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에 광범위하게 접근할 수 있지만, 웹 브라우저는 이를 제한할 수 있는 더 안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글쓴이는 현대 웹 브라우저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앱 대신 웹사이트를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
#앱설치유도 #데이터수집 #웹브라우저 #디지털감시 #프라이버시보호
Price Per Token (토큰당 가격) – LLM API 가격 데이터
https://pricepertoken.com/
이 기사는 다양한 LLM 공급업체(예: OpenAI, Anthropic, Google)의 API 가격을 토큰당 가격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는 웹사이트인 'Price Per Token'을 소개합니다. 이 사이트는 제공자, 모델, Input 및 Output 가격을 테이블과 그래프 형태로 제공하며, 마지막 데이터 갱신 시점은 2025년 7월 26일입니다. 또한, 특정 모델 선택 전 비용 대비 성능 분석에 참고할 수 있는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고, 뉴스레터 구독을 통해 정기적으로 최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LLM #API_가격 #토큰당_가격 #OpenAI #Anthropic
[인터넷 생태계 탐색: BGP.Tools] (bgp.tools)
https://bgp.tools/
BGP.Tools는 인터넷의 BGP(Border Gateway Protocol) 생태계를 탐색할 수 있는 웹 기반 도구로, ASN, 프리픽스, DNS, MAC 주소 등 다양한 기준으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검색하고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네트워크 엔지니어, ISP, 보안 연구자, 스타트업 등 다양한 사용자에게 인터넷 인프라의 상태와 상호 연결관계를 실시간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기능을 제공합니다.
#BGP #ASN #프리픽스 #네트워크시각화 #인터넷트래픽
'국가대표 AI' 후보 10곳으로 압축…네카오·LG·SKT·KT 등 통과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700207&call%5Ffrom=openData
한국 정부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서면평가를 통해 10개 정예팀을 선정했다. 네이버클라우드,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파이온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포함되었다. 루닛,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에이아이, 정션메드, 파이온코퍼레이션 등 5개 팀은 1차 관문을 통과하지 못했다. 최종 선정과 협약 체결은 다음달 초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독자AI파운데이션_모델 #네이버클라우드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euralAgent: 데스크톱에서 다양한 App들을 조작하며 작업을 완결적으로 처리하는 AI 에이전트
https://www.getneuralagent.com
NeuralAgent는 데스크톱 환경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로, 사용자의 자연어 명령을 해석하여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로컬 환경에서 실행되어 높은 반응성과 개인정보 보호를 제공하며, 다양한 오픈소스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에이전트는 반복적인 웹 브라우저 기반 업무 자동화에 특히 강점을 보이며, MIT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NeuralAgent #로컬AI #데스크톱자동화 #GPT-4 #Claude
모던 CSS가 SPA를 대체할 시기임
https://www.jonoalderson.com/conjecture/its-time-for-modern-css-to-kill-the-spa/
최신 CSS 기능인 View Transitions API와 Speculation Rules의 등장으로, SPA(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의 복잡한 구조 없이도 부드러운 페이지 전환과 빠른 내비게이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은 SPA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모던 CSS와 네이티브 브라우저 기능을 활용한 MPA(멀티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구조의 장점을 강조한다. 또한, 웹사이트 개발 시 SPA의 불필요한 도입을 지양하고, 효율적이고 유지 관리가 쉬운 방향으로 전환할 것을 권고한다.
#View_Transitions_API #SPA #MPA #Speculation_Rules #네이티브페이지전환
셀프 호스팅이 미래가 아닌 이유
https://www.drewlyton.com/story/the-future-is-not-self-hosted/
이 글은 셀프 호스팅의 한계와 디지털 자산의 임대 모델로의 전환을 분석한다. Amazon Kindle의 기능 중단 사례를 통해 디지털 권리 관리(DRM)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셀프 호스팅의 기술적 난이도와 비효율성을 강조한다. 대안으로 공공 클라우드 인프라나 협동조합적 접근을 제시하며, 모두가 접근 가능한 인터넷 인프라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셀프호스팅 #Amazon_Kindle #디지털권리관리 #공공클라우드_인프라 #협동조합
[ Wave에서 인라인 어셈블리로 BIOS 문자 출력하기
https://velog.io/@lunastev/wave-bios-inline
이 글은 Wave를 사용하여 인라인 어셈블리를 통해 BIOS int 0x10
호출로 텍스트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LLVM IR에서 부트 이미지 빌드, QEMU 실행까지의 과정을 상세히 다루며, 실행 시 화면에 'Hi!\nOK'가 출력되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블로그에는 코드와 빌드 과정이 자세히 정리되어 있습니다.
#Wave #인라인어셈블리 #BIOS #LLVM_IR #부트이미지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H4LAB Delegation Status (2025/07/27)
https://www.steemit.com/@h4lab/2025-07-27-status
@h4lab님이 당신을 멘션하였습니다.
멘션을 받고 싶거나 받지 않으시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빠른 시일내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H4LAB Delegation Status (2025/07/28)
https://www.steemit.com/@h4lab/2025-07-28-status
@h4lab님이 당신을 멘션하였습니다.
멘션을 받고 싶거나 받지 않으시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빠른 시일내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