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컨텐츠 통합사전 DBTS(www.buddhapada.net) 출범

in KR.BUDDHISM4 years ago (edited)

@bulsik은 구글의 G-Suite툴을 이용해서 쉽게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사실 데이터 생산과 툴의 제작은 다른 부분이라 이게 기술면의 데이터일 때는 한 사람이 모두 가능한데, 컨텐츠가 인문사회계열일 경우 정보제공자가 툴의 외연까지 익히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행이 딱 맞는 툴이 구글의 홈페이지 도구인데요. 이 도구가 기본적으로 사이트 내부의 자료를 검색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더군요. 그것을 이용해서 불교컨텐츠 통합사전을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불교컨텐츠역시 그 나름대로의 전문분야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성은 없겠지만, 불교학과 연관된 작업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기 제공되는 컨텐츠는 새로 발굴하거나 기존의 사전자료를 이용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그동안 @bulsik 편집부가 학습하면서 제작한 노트를 옮기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입니다.

'검색창'이란 말을 들으면 혹시 가슴뛰지 않으신가요? 물리적인 세상에선 아직 구현이 쉽지 않은 기술이죠. 책상에서 커피를 흘렸을 때 휴지!라고 외친다고 해서 내 손으로 행주나 티슈가 날아오지는 않죠. 하지만 웹상에선 가능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심지어 예전보다 한 단계 진보되었습니다. 이제 분야별 사전의 분류가 요구되지 않습니다. 불교미술사전, 산스끄릿 사전, 용어사전, 고유명사 사전, 인물사전… 등 이런 분류말입니다. 검색창에 치면 그게 어떤 분류의 자료이든 바로 찾아내니까요. 위키피디아 시대를 함께 걸어가는 불교통합사전이 시작됩니다.

@bulsik은 비록 표제어들을 포스팅하겠지만, 그건 백업용에 가깝습니다. 이제 아래의 사전, DBTS에서 찾는게 기본이 될 겁니다. 검색창 단 한개만 있는 가장 심플하고 단순한 사전이죠.

DBTS사전 www.buddhapada.net

pada란 '발'이란 의미도 있고 '단어'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전사이트의 주소는 buddhapada로 정했답니다.

@bulsik은 여기에 올라간 노트들을 스팀잇에 하나씩 정리해두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