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월은 전통적인 약세의 달

in Harry Potter Libraryyesterday

image.png

8월 9월은 전통적으로 자산이 약세를 보이는 달로 알려져 있다.

실제 데이타를 보면 8월 초부터 바로 약세를 보이지는 않고 약한 상승의 경향이 있으며, 휴가시즌이 지나면 오히려 상승하기도 한다. 이후 9월에는 역사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이는, S&P 500, KOSPI 그리고 가상자산이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
이중 가상자산이 이러한 계절성이 가장 낮은데, 특정 월이나 계절에 상승이나 하락성을 보이는 패턴이 아직은 약하고 변동성이 심하다.

9월 효과는 단순히 월별 평균이 낮다기보다, 이익 실현, 포지션 청산, 기관 리밸런싱, 세금 정리(quarter‑end tax loss harvesting) 등의 구조적 거래 흐름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비트코인 등 암호자산은 이런 전통적 거래 습관이 덜 작용하였는데, 기관자금의 유입이 지속 누적되고 있어서 비슷한 패턴을 보일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

한국 주식 KOSPI의 9월 평균하락폭은 -6.28%이다. 2024년에는 8월초에 Black Monday 급락으로 -8.8%의 하락이 있었다. 하지만 계절성만을 믿고 투자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기에는 더 큰 변수로 볼 수 있는 거시경제와 지정학적 요인들이 많다. 참고를 하되 절대적인 규칙으로 간주하여 투자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Sort:  

@harryji, your analysis of the "September Effect" and its potential impact on both traditional markets and crypto is incredibly insightful! The way you've blended historical data with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like institutional rebalancing and tax strategies is top-notch.

The comparison between the S&P 500, KOSPI, and crypto, highlighting the varying degrees of seasonality, is particularly valuable. Your cautionary note about relying solely on seasonal trends amidst broader macroeconomic and geopolitical factors is spot-on and displays a responsible approach to market analysis.

This post offers actionable insights for anyone navigating the markets in the coming weeks.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 I'm curious to hear what others think – how are you all preparing for the potential September volatility? Let's disc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