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925] 중국 AI 투자노트#4

중국 AI의 전략적 강점과 차별적 성장 경로

AI의 가치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응용에서 구현된다. 알고리즘과 연산 인프라는 AI 발전의 필요조건이지만 경제적, 사회적 파급력은 생활과 산업 현장에서의 상용화를 통해 구체화

중국은 방대한 데이터, 제조 역량과 산업 공급망,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응용 확산에 강점을 보인다. AI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에 축적되는 데이터는 다시 학습을 고도화해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으로 환류되며 선순환을 형성
중국은 응용 기반 상용화를 통해 글로벌 AI 경쟁에서 전략적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예상

결국 응용분야에서 중국의 장점을 살펴 전략적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입니다.

1)데이터: AI 산업의 핵심 자원

중국은 세계 최대의 데이터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는 11억명을 넘어섰으며, 모바일 결제·전자상거래·행정·의료·교통 등 전 사회 영역에서 데이터가 폭증하고 있다. IDC에 따르면 중국의 데이터 생산량은 2025년 51.8ZB에서 연평균 26.9% 증가해 2029년 136.1ZB에 이를 전망

2)산업 공급망: AI+제조의 기반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UN 산업분류(ISIC)에 따른 41개 대분류, 207개 중분류, 666개 소분류 업종을 모두 보유한 국가로 평가된다. 중국의 세계 제조업 점유율은 1980년 5.0%에서 2024년 31.6%로 상승했으며, 2030년에는 4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저위기술부터 중고위기술까지 광범위한 산업 밸류체인이 구축돼 있
어, AI와 제조업을 결합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기에 최적의 조건

AI가 제조 현장과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되면 방대한 신규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는 학습·추론 과정에 재투입돼 성능 개선을 가속한다. 이러한 선순환은 정적 데이터에 의존하는 단계를 넘어, 경험 데이터 기반의 자기 진화형 ‘피지컬 AI’로 발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중국의 산업 공급망과 현장 데이터가 결합되며 글로벌 AI 경쟁에서 차별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

3)내수시장: AI 상용화의 토양

연결 기기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규모·다양성·실시간성이 강화돼 알고리즘 정교화와 서비스 고도화가 가속된다. 축적된 데이터는 다시 사용자 경험 개선으로 환류되며, 생태계 잠금효과를 통해 이용자의 이탈을 제약한다. 결국 대규모 기기 연결은 데이터 축적 → 알고리즘 고도화 → 경험 개선 → 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선순환을 형성한다. 중국 기업이 AI 시장에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경로

이처럼 중국은 데이터, 산업공급망, 내수시장 측면에서 AI의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강력한 실행력을 바탕으로 AI 생태계의 주요 플레이어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내일은 AI 밸류체인 투자전략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Sort:  

중요한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AI의 가치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응용에서 구현된다.

결국 부가가치가 가장 많은 분야가 응용분야가 될 것 같습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3803403020694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