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811] 중국 Tech 관련#2
오늘도 어제에 이어 중국 Tech 관련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중국 Tech
중국 육성 산업은 정책 본격화 2-3년 후 주가 급등
빅테크/반도체/AI/스마트제조에 대한 관심 유효
아직 견고하지 않은 중국 경기 회복세
하반기 재정 지출 가속화 예정
관세 전쟁 휴전에도 불구하고 6월 중국 제조업PMI는 49.7pt로 전월대비 개선되었으나 경기위축 국면에 머무름.
그동안 경기에 부담을 주던 부동산 역시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음. 부동산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판매면적 증가율은 2분기 다시 감소폭이 확대됨.
그래도 다행히 하반기 중국 재정 지출이 빠르게 확대될 예정. 재정 지출 가속화에 따라 하반기 경기 둔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중국은 아직 경기위축 국면에 머물러 있기는 하나 하반기 재정지출이 빠르게 확대될 예정으로 경기 개선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경기보단 정책 기대에 더 민감한 정책 수혜 업종
정책 집행 본격 2-3년 후 주가 급등
경기에 대한 부담은 존재하지만 중국 증시에서 정책 수혜 업종은 경기보다는 정책 기대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빈번함.
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하는 산업은 경기 둔화 국면에서도 자금 공급, 투자 확대, 수요 창출이 집중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록.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육성 정책이 발표되고 본격적으로 정책 집행이 진행된 이후 약 2~3년 되는 시점에서 해당 업종의 주가 급등기가 나타남.
AI의 경우 2017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되어 2024년 AI+ 정책 집행이 본격화 되었음.
'24년 정책집행 본격화의 시나리오 대로라면 '26~'27년에 본격적으로 가시적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2014년 반도체 산업 육성
유사하게 전개될 AI 산업
반도체와 AI의 경우 현재 진행형인 육성산업. 특히 미국 기술 제재에 맞서 기술 자립을 위한 정책이라는 점이 핵심.
반도체는 2014년 국가대기금을 조성해 자금을 지원, 해외 인재 유치와 연구소 설립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반도체 육성 산업은 비교적 일찍 시작하였으나 주가 강세는 미중 무역갈등이 시작된 이후 나타남. 장비사인 NAURA 주가는 9.5배 상승.
그리고 현재까지도 미중 갈등이 격화될수록 반도체 주가는 더 상승하는 모습.
AI 또한 반도체와 유사한 흐름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상. AI+정책이 2024년부터 본격화 되었으므로 향후 1-2년 내 주가 급등기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빅테크/반도체/AI/스마트제조
대부분의 빅테크/반도체/AI/스마트제조 업체들이 12M Forward EPS는 급증, PER는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관련 업종/종목 투자에 좋은 참고가 될 수 있겠습니다.
@seraphim502, 정말 흥미로운 중국 Tech 산업 분석 포스팅 감사합니다! 거시 경제 흐름과 정책 방향을 연결하여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점이 돋보입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정책 수혜 업종이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2~3년 후 주가 급등을 보이는 과거 사례 분석은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는군요. AI 산업을 반도체 산업 육성 사례와 비교하여 향후 투자 전략을 제시하는 부분도 인상적입니다. 빅테크, 반도체, AI, 스마트제조 업체의 EPS 증가와 PER 안정화 데이터는 투자 판단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덕분에 중국 Tech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습니다. 앞으로도 양질의 분석글 기대하겠습니다! 다른 스티미언 분들도 이 포스팅을 통해 투자 아이디어를 얻어 가시길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31761820407707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