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29] 스테이블 코인 리뷰#10
오늘도 어제에 이어 스테이블 코인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수익구조 -1. 결제수수료
수수료 절감 효과는 존재하지만, 실제 수요 창출이 먼저
-해외송금 기준 SWIFT는 평균 2-5일 소요, 수수료는 6% 내외 vs 스테이블코인 0% 대, 실시간 처리
-결제의 경우 간편결제 수수료(PG포함) 2-3% 수준 vs 스테이블코인 0%대
-간편결제는 1.편리함, 2.인센티브가 핵심. 네이버페이같은 경우 네이버 결제 시 평균적으로 1~5% 추가 적립 혜택
-미국 서클의 수익은 99%가 이자수익으로 구성. 발행/유통사 입장에서는 결제수수료를 통한 큰 이득이 없을 것으로 전망.
-송금수수료도 마찬가지 이미 원화 송금은 무료이며 국제송금의 경우에도 카카오뱅크가 국가/금액 상관없이 4,900원으로 인하한 상황
-전자상거래 업체는 득을 볼 수 있을 전망. 자사의 결제시스템에 스테이블코인을 추가하며 발행 니즈 높일 수 있기 때문. 페이팔의 PYUSD는 현재 8.1B 규모임
-미국의 월마트, 아마존도 그런 연유로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을 밝힌 것으로 추정.
-다만 실질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이 결제에 사용되는 비중은 낮은 상황, 소비자에게 명확한 인센티브 제공하지 못한다면 기존결제에서 움직일 유인이 부족할 것
-PYUSD는 코인 예치 시 연 3.7%달하는 이자수익 제공. 국내 모델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할 것
결제 수수료 측면에서는 기존 레거시 금융/핀테크에 비해 효율성과 속도, 비용측면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한 입장에 있지만 발행사 입장에서는 결제수수료 수익구조는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시장을 키워놓고 다양한 활용처를 찾는 것이 급선무일 것 같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수익구조 -2. 이자수익
담보자산에 따라 수익성 다를 전망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핵심 수익구조. 서클의 경우 연간 16.7억 달러에 달하는 이자수익 발생
-미국 1위 스테이블코인인 테더의 경우 준비자산의 대부분을 미국채로 보유. 수익률 4~6% 수준
-국내의 경우에도 MMF, 국채 등을 100% 준비자산으로 보유할 것으로 예상. 국채 수요 늘릴 수 있는 정부 입장에서는 득이 큼
-국내 국채/CD/MMF 수익률 감안 시 2~3%수준의 이자수익을 예상
-발행사도 이자수익 창출 가능. 다만 Transaction cost /마케팅 비용 등도 고려해야, 실제로 서클의 분배 및 거래비용은 전체 매출의 60%를 차지
-이 중 90%가 코인베이스, 이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유통사도 중요함을 시사함.
큰 그림에서 보면 장기적으로 화폐 시뇨리지를 민간이 스테이블코인의 형태로 가져간다면 국가는 이자율은 낮은 상태로 유지하면서 더 적극적인 국채 발행을 통해 국가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고, 국채로 백업된 스테이블 형태의 디지털 화폐는 엄청난 유동성과 수익성을 갖추며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 그림을 그려볼 수 있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이자수익분석
발행 니즈는 충분, 실질적 수혜는 제한적으로 전망
-인터넷(네이버/카카오) 회사들은 이미 자체적인 결제시스템(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가지고 있음. 따라서 스테이블코인 발행할 니즈는 충분히 있음
-법리적 이슈가 있을 수 있으나 해외사례와 같이 국내도 핀테크가 발행 가능하다고 가정. 거래소 코인 결제는 USDT도 가능하므로 우선 고려하지 않음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따른 매출은 1. 담보자산에 따른 운용수익, 2. 결제수수료임
-실질적 수익은 담보자산에 따른 이자수익으로 집중될 것으로 전망. 서클도 매출의 대부분이 이자수익에서 발생
-국내 MMF 담보 시 기대 수익률은 연간 2-3%수준으로 예상
-24년 네이버 페이 결제액은 약 72조원, 카카오페이 REVENUE TPV는 48조원임
-간편결제 침투율 추이 참고하여 향후 5년 뒤 스테이블코인 침투율 5~10% 도달한다고 가정, 페이 결제액은 연평균 성장률 15% 가정
-해당 시나리오대로면 `2030년 네이버페이 이자 기대수익 2,087억~4,175억원, 카카오페이 1,412억원~2,825억원 예상
향후 주 수익원이 담보자산 운용수익(한국 국채 및 MMF 기대수익률 2~3% 수준)에 한정된다고 가정할 때 네이버페이의 '30년 기대 수익은 2천억~4천억 수준을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너무 스테이블 코인의 용처를 디지털 결제에 한정해서 바라보고 발행사를 발행사의 영역에만 한정하는 제한된 조건하에서의 수익률 계산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내일은 스테이블 코인의 사용 유인 요소들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520965100641256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seraphim502, 대단히 흥미로운 스테이블 코인 분석입니다!
결제 수수료, 이자 수익 등 발행사의 수익 구조를 꼼꼼하게 파헤치면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의 미래 수익까지 예측하신 점이 인상적이네요. 특히, 스테이블 코인이 디지털 결제에만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견에 깊이 공감합니다.
흥미로운 분석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도 무척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