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26] 스테이블 코인 리뷰#7

오늘도 어제에 이어 스테이블 코인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이외 미국채 안정 방안: SLR

SLR에 추가되는 버퍼를 줄이는 방안이 언급됨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는 과거에 비해 개선되면서 규제 완화에 대한 우려 완화
-코로나 이후 SLR 비율이 은행 총자산 확대를 제한하면서 미국 채권 시장의 변동성과 유동성은 악화되었음
-G-SIB들은 기본 SLR 규제에 2~3% 고정된 추가 버퍼를 적용 받았음
-하지만 앞으로는 재무 상황에 따라 추가 자본 요구(Method 1 Surcharge * 0.5)할 것으로 보임
-대형 은행 SLR 규제는 대략 3.5~4.5% 수준으로 내려올 것으로 보임 (회사마다 상이할 것)
-은행의 국채 매입 여력 확대에 대한 견해가 다양하지만 규제 완화 이전에 비해 채권 보유량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음
-브로커리지(채권시장 호가 개선) 및 차익 거래 활성화 기여 기대할 수 있음
-시장의 매수 매도 호가 스프레드 축소 및 변동성 안정을 기대해볼 수 있음

스테이블코인 이외 미국채 안정 방안: QT 중단

양적 긴축을 멈추는 것 또한 하나의 국채 금리 안정 정책

-QE가 실질적으로 장기물 금리를 낮추진 못했음. 하지만 연준이 가지고 있는 국채 보유량이 많을수록 그만큼 정부의 이자 지출이 줄어듦
-QT를 중단하는 것은 이자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
-연준 총자산은 약 6.6조 달러 규모로 GDP 대비 약 22% 수준
-코로나 이전 GDP 대비 연준의 국채 보유량 규모 수준
-명목 성장률이 장기물 금리의 적정 레벨 기준점이 됨
-10년대는 연준의 자산 매입이 늘어나면서 명목 성장률보다 장기물 금리가 더 낮았음 → 하지만 연준의 총자산이 크게 줄어들어 명목 성장률을 크게 하회하기 힘든 상황
-전체 국채 시장 대비 연준의 채권 보유 비중이 긴 시계에서는 채권 금리에 영향을 줌

내용은 복잡하지만 미국 채권 금리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정책적 수단이 동원될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미국 경기 업데이트: 고용 둔화

질적 개선이 없는 미국 고용시장

-미국 고용시장 냉각은 빠르게 진행되는 중
-고용지표 전반적으로 예상치 상회. 하지만 비농업 일자리는 정부와 헬스케어 일자리 주도로 늘어났음. (경기에 민감한 섹터는 고용 부진 지속)
-경제활동참가율 하락 및 고용률 하락 → 실업률 하락 기여
-수요 둔화로 인한 실업률 상승폭이 커지고 있음
-실망실업자, 한계실업자 모두 급등. 고용시장에서 실업자는 아니지만 사실상 실업자와 유사한 성격을 가지는 그룹으로 볼 수 있음

미국 경기는 공급측면 보다는 수요측면의 둔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경기에 민감한 섹터는 고용부진이 지속되고 고용이 양호한 분야는 주로 정부와 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한정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 경기 업데이트: 힘 빠지는 임금

고용 소득 의존도가 높은 계층의 임금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되고 있음

-임금 하위 25% 계층의 임금 상승률 둔화세가 가파름
-서비스 섹터 임금 상승률 저조 & 저학력 노동자 임금 상승률 저조
-가계의 계층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하위 계층의 상황 악화가 헤드라인 경기 데이터에 부분적으로 반영되는 상황으로 보임
-부의 효과를 누리지 못하는 하위 50%의 상황은 지속적으로 나빠질 것
-하반기 물가 반등 시 실질 임금 둔화 가능성 높아 소비 성장세도 예상보다 낮을 가능성
-고용 수요가 강하지 않아 임금이 물가를 따라가기보다 명목 임금 상승률은 기존의 상승 추이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미국 경기 업데이트: 실물 경기 둔화 지속

관세 영향이 아직 다 반영되기도 전에...

-5월 실질 개인소비지출 역성장, 실질 가처분소득은 22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역성장 기록
-1분기 GDP 소비는 재차 하향 조정되었음. 서비스 소비는 코로나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 기록
-경기 둔화되며 올해 들어 서비스 소비 둔화폭 확대
-코로나 이후 재화 주도 소비 성장에서 서비스 주도 소비 성장 트렌드
-무역수지 적자로 부풀려진 성장 둔화 이면에 미국 소비 체력 둔화 확인

전반적으로 미국의 소비체력이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중입니다.

미국 경기 업데이트: PMI 둔화 지속

제조업 PMI 데이터는 심화되고 있음

-제조업 PMI는 49.0pt로 전월 48.5pt보다 소폭 반등
-생산은 반등했으나 신규 주문과 고용은 감소
-산업별 정성 코멘트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음
-관세 언급이 대부분 섹터에서 확인됨. 부정적인 코멘트 비중이 늘어났음
-서비스 PMI에서도 언급되었듯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이 큰 것으로 보임

오늘은 미국의 채권금리 부담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대안과 악화되어 가고 있는 경기 상황에 대한 코멘트를 살펴 보았습니다.

내일은 스테이블 코인이 인터넷 S/W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남은 시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Sort:  

@seraphim502, another insightful and comprehensive analysis! Your deep dive into potential solutions for stabilizing US Treasury yields – from tweaking the SLR to pausing QT – is particularly fascinating. It's rare to see such a clear and concise breakdown of complex monetary policies and their potential impacts.

The updates on the US economic situation, especially the softening labor market and waning consumer strength, paint a vivid picture. The way you connect these trends to potential impacts on different income groups is also noteworthy.

I appreciate how you synthesize a lot of information in an easy-to-follow manner. I learned a lot.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 insights!

Looking forward to your next post on the impact of stablecoins on the internet S/W industry! Keep up the fantastic work!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53057211190274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너무 좋은 내용 이렇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