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20] 스테이블 코인 리뷰#2
화폐 프리미엄 관련 리뷰로 잠시 멈추었던 스테이블 코인 관련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처
-핵심 기능인 트레이딩 및 온체인 DeFi 활용 67%
-송금 15%, 상점결제 5%, 자산 가치 보호 10%
Top 스테이블코인의 dApp 활용처
-스테이블코인의 dApp 사용 사례는 토큰 변환, 트레이딩 및 체인 간 이동에 집중되어 있음 (약 52%)
-이는 스테이블코인이 탈중앙화 인프라 내 유동성과 상호 운용성을 갖춘 주요 교환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줌
-RWA dApp 사용 비중은 온체인 메커니즘을 통해 오프체인 수익원에 대한 수요를 반영. 실물자산의 토큰화는 접근성 및 투명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Line-IX
Swap 사례와 같이 영화/엔터테인먼트 등 비전통적 섹터를 포함한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 기회를 확대
-반면 온체인 수익 창출 메커니즘은 35.4% 비중 차지
스테이블 코인 활용성을 보면 Defi/Swap 등에 67%의 비중 그외 송금(15%), 결제 등의 목적으로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스테이블 코인이 탈중앙화 네트워크 내에서 중요한 교환 매개체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동시에 레거시 금융으로의 확장 여지가 많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겠습니다.
스테이블코인 운영의 핵심 메커니즘
페그 안정성 = 담보 기반 상환 + Mint/Burn 차익거래 메커니즘
-1:1 상환 가능성이 스테이블코인의 가격을 페그에 고정
-준비금은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국채, 기타 자산 등으로 구성
-보안성과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제된 금융기관 또는 신뢰할 수 있는 수탁기관에서 보관
-차익거래 메커니즘: 시장 가격이 페그 이하로 하락할 경우 차익거래자는 할인된 가격에 스테이블코인을 매수한 후 상환하여 차익 실현 → 수요 증가로 페그 회복(가격이 페그를 초과할 경우 새 토큰 발행 이후 판매하여 차익 실현) → 공급 확대로 페그 회복
투명성 및 거버넌스 = 감사 + 규제 준수
-준비금이 완전히 담보되어 있고 유동성과 안전성을 사용자에게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인 감사 및 확인 절차 공개, 실시간 보고가 필수적
-발행사는 일반적으로 온체인 투명성보다 물리적 감사와 준비금 증명을 강조함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구조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소각은 Primary Market에서 진행
-거래소, wallet 업체, 은행 및 B2B/B2C 앱 등 기관 고객이 법정화폐 또는 실물 자산(금 등)을 발행기관에 예치하고, 발행사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 그에 상응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새로 발행(minting)
-상환(redemption)은 토큰을 발행기관에 반환하면 발행기관이 법정화폐 또는 실물 자산을 되돌려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짐
-이러한 거래는 일반적으로 은행 송금(wire) 또는 API 연동을 통해 직접 이루어짐
-Secondary market: 개인투자자는 발행기관과 직접 상호작용하지 않고 중개기관(예: 거래소)을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구매 및 판매
기관 대상 mint&burn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Primary Market, 개인 대상 중개기관(거래소)을 통한 거래는 Secondary Market이 되겠습니다.
미래 화폐로 부상하기 시작한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 생테계를 지지하는 트럼프
-(2024.08) 트럼프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 입장을 밝히며 미국을 ‘지구의 암호화폐 수도로 육성하겠다’라는 공약을 제시
-(2025.02) 미국 의회의 ‘Genius Act’ 발의
-(2025.03) 트럼프는 백악관 크립토 서밋에서 바이든 행정부의 가상자산 규제 정책인 ‘Operation Choke Point 2.0.’ 종료 및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추진 계획 발표
-(2025.03) 통화감독청(OCC)은 은행들의 암호화폐 관련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 승인 요건을 폐지
-(2025.04)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증권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등 관련 가이던스 발표
-(2025.06) ‘Genius Act’ 상원 본회의 통과
-(2025 하반기) 하원 본회의 심의 및 트럼프 대통령 서명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량이 '25->'28년까지 8.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스마트컨트랙트 내 유동성이 그만큼 증가함을 대변하는 것이고 레거시 금융에서 탈중앙화 금융으로의 유동성 이동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생태계 내에 활동하는 모든 온체인 N/W 가치에 부가가치를 더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겠습니다.
내일도 관련한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seraphim502, your post was upvoted by @supportive.
@seraphim502, 정말 흥미로운 스테이블 코인 분석 포스팅 감사합니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의 활용처를 DeFi, 송금, 결제 등으로 명확히 구분하고, 실제 사용 비중을 데이터로 제시해 주신 점이 인상적이네요.
스테이블 코인이 탈중앙화 금융 생태계에서 유동성 공급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레거시 금융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에 깊이 공감합니다. 트럼프의 암호화폐 지지 발언과 스테이블 코인 규제 완화 움직임까지 언급해주신 점도 시의적절하고 좋았습니다.
Primary Market와 Secondary Market 구조 설명 덕분에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및 유통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스테이블 코인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유익한 글이었습니다. 다음 리뷰도 기대하겠습니다! 👍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4.620042860749045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