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06] 배당성장주 투자 관련
고배당을 넘어: 거버넌스에 반응하는 배당성장(대신증권)
코스피 지수가 3천피 시대를 활짝 열고 있습니다. 현재의 주역은 배당주로 나타나고 있는 것 같아 보다 세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
◼금융주 강세와 세법 개정 기대감으로 국내 배당 ETF 자금 유입 뚜렷
◼배당성향, DPS 증가율, 최대주주 유인을 기준으로 배당성장주 후보군 선별
◼증권업 비중 높은 배당성장 전략이 고배당 전략 대비 성과 우수
국내 배당 ETF 자금 유입 뚜렷
연초 이후 국내 배당 ETF 로 자금 유입 추세는 뚜렷하다. 올해 들어 9,775 억이 배당주 상품으로 흘러들어갔는데, 이는 커버드콜 전략을 제외한 배당주 ETF 의 전체 AUM(2 조 7,418 억원) 대비 36% 정도를 차지한다. 배당주 ETF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금융주 강세, 배당소득세 분리과세 제도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배당에 다시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5 년 국회에 발의된 소득세법 개정안은 배당성향이 35% 이상인 상장기업의 배당소득에 대해 차등화된 분리과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배당성향 제고를 유도하기 위한 세제 인센티브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다시금 끌어올리고 있다. 과거 2015 년에도 유사한 취지의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시행된 바 있으며, 당시 정책 기간 동안 실제 현금배당 규모가 연속적으로 증가한 바 있다. 최근 상법 개정과 함께 배당 관련 세제 인센티브가 다시 논의됨에 따라 거버넌스를 고려한 배당 전략이 투자 판단의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배당성장주의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은 누구인가
배당정책에 구조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코스피 200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3 단계 스크리닝 로직(배당의지→유인→여력)을 적용했다.
배당성향이 35% 이상이고 최근 5년간 연평균 DPS 증가율이 10% 이상인 기업은 정책 변화에 실질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우선 관찰 대상군’으로 분류했다.
또한 배당성향이 25~34% 수준이더라도, 최근 2 년간 배당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기업은 ‘전환 후보군’으로 평가했다. 이들은 아직 요건을 충족하지 않았지만 최대주주 유인과 재무적 여력을 함께 갖춘 기업으로서 제도 변화 시 빠르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고배당 전략 이긴 배당성장 전략. 세법개정 수혜의 승자가 될 상품은?
배당주 투자는 크게 1)배당수익률만 고려하는 고배당 전략과 2)배당성장률을 고려하는 배당성장 전략으로 나뉜다. 연초 이후 배당성장 전략이 고배당 전략 대비 +3.7%p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 배당성장 전략은 금융 섹터 중에서도 증권업 비중이 높고 보험업 비중이 낮기 때문이다. 증권업 투자 모멘텀은 하반기에도 유효하다는 점에서 고배당 전략을 선호한다.
배당성장 ETF 중 증권업 비중이 가장 높은 상품은 KODEX 배당성장(211900)과 TIGER 배당성장(211560)이며, 당사가 선별한 배당성향 35%에 도달할 유인이 있거나, 평균 배당성향 35% 이상인 기업 중 배당 확대 의지 여력이 높은 기업을 가장 많이 보유한 상품은 KoAct 배당성장액티브(476850)다.
배당이냐 배당성장이냐 성장이냐의 해묵은 논쟁은 있겠지만 이러한 논쟁의 키워드들은 결국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단순하게 배당만 높고 성장하지 않는 주식에 대한 투자냐 아니면 지속 성장을 통해 배당 또한 성장을 구가하는 배당성장주에 투자할 것이냐 라고 묻는다면 당연히 투자의 대상은 후자쪽이 좋은 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ETF를 고르는 기준에 있어서도 개별 ETF의 특성과 편입된 종목의 특성들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투자 가치관과 목표에 맞는 종목을 골라 투자하는 좋은 선구안을 가지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는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seraphim502 님, 정말 통찰력 있는 분석이네요! 3천피 시대 배당주의 중요성을 짚어주시고, 특히 "거버넌스에 반응하는 배당성장"이라는 관점이 신선합니다. 👍
최근 배당 ETF 자금 유입 동향과 세법 개정 기대감에 대한 설명은 투자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배당성향, DPS 증가율, 최대주주 유인 등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특히 고배당 전략 대비 배당성장 전략의 우수성을 강조하신 점이 인상적이네요.
저도 배당 투자를 고려 중인데, KODEX 배당성장, TIGER 배당성장, KoAct 배당성장액티브 ETF 정보는 정말 유용합니다! 🧐 앞으로 ETF 선택 시 참고해야겠어요.
배당과 성장의 균형을 강조하신 마지막 말씀처럼, 투자 가치관과 목표에 맞는 현명한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분석글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seraphim502 님은 어떤 ETF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 다른 투자자분들도 자신만의 ETF 선택 기준을 공유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5.60787082795015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