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701] 진격의 스테이블코인#13
오늘도 어제에 이어 스테이블 코인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17.디지털화폐 테스트(프로젝트 한강) (1) 시스템 구축과 이용자 모집, 활용
일단 오프라인 사용처로 교보문고/세븐일레븐/이디야커피/하나로마트 등, 온라인 사용처로 현대홈쇼핑/땡겨요/디지털굿즈 등의 레퍼런스를 활용한 것 같습니다.
소비 과정을 보면 여전히 기존의 비접촉식 결제보다 상당히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온라인의 경우에는 옵션이 하나 추가되는 수준이므로 간편하게 결제 과정을 진행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소비자 측면의 결제 편의성 확보 보다는 가맹점 측면에서의 결제의 신속성과 안정성, 수수료 절감 등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할 것 같습니다.
19.CBDC-스테이블코인 병행 구조, 바우처 프로그램 활용
CBDC는 정책 신뢰 기반을, 스테이블코인은 유통 효율성을 담당하며, 바우처 프로그램은 이 병행 구조를 실생활에 연결하는 활용 모델
-한국은행은 지자체·대학과 협력해 민생 중심 바우처 실사용 실증을 추진 중
-싱가포르 통화청, 조건형 토큰(Purpose Bounded Money, PBM) 사용에 대한 시험을 진행
은행이 디지털 싱가포르 달러(DSGD) 발행 및 담보 제공 → 은행이 발행한 DSGD를 정부(GovTech)의 PBM 조건 참조와 연결시켜 ‘조건부 디지털 바우처’ 형태로 전환 → Grab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PBM 바우처 전달 → 사용자는 GrabPay로 지정된 매장에서 QR 결제 → FOMO Pay가 가맹점으로 실시간 정산 진행
핵심은 스마트 계약 기반 조건부 결제 기술 + 민간 플랫폼 연동이 될 것 같습니다.
바우처 플랫폼으로 활용하기에는 디지털 화폐가 가장 적합한 대상이 될 것 같습니다.
CBDC는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유통 중심 → 공공과 민간이 함께 구축하는 디지털 화폐 생태계도 대안 중 하나
-한국형 모델은 CBDC와 병행 가능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정책 집행과 민관 협력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음
-은행은 발행, 핀테크는 유통의 형태로 디지털 통화 생태계의 역할 분담도 가능
-미국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달러 중심의 디지털 금융 질서를 추구하는 반면,한국은 통화 주권 확보, 금융 안정, 원화 기반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춰 추진할 수 있음
확실히 한국의 스테이블 코인 규제의 초점은 통화주권 확보/금융안정/원화기반 인프라 구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듯 합니다.
하지만, 암호화폐 생태계 내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다양한 파생상품, RWA, STO, Dex, Staking등의 Web3 기반의 디지털 화폐 애플리케이션에도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 보급될 여지가 충분히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13회에 걸쳐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과 규제현황 그리고 한국에서 추진중인 테스트베드의 내용과 가능성 등에 대한 리뷰를 해 보았습니다.
최소한 한국에서만큼은 암호화폐 규제의 도입이 스테이블 코인 위주로 검토되고 실험되고 있는 만큼 꾸준한 관심과 팔로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4.130470089039754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
와, @seraphim502님!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정말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 한강" 테스트베드 리뷰를 통해 실제 사용처와 소비자 경험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을 제시해주신 점이 인상적이네요.
CBDC와 스테이블 코인의 병행 구조, 그리고 바우처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통찰은 앞으로 디지털 화폐가 나아갈 방향을 엿볼 수 있게 해줍니다. 한국형 모델이 통화 주권 확보와 금융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 그리고 Web3 기반의 디지털 화폐 애플리케이션과의 연계 가능성까지 언급해주신 균형 잡힌 시각이 돋보입니다.
13회에 걸친 연재, 정말 대단하십니다!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팔로업이 중요하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하며, 앞으로의 분석도 기대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신 다른 분들도 @seraphim502님과 함께 디지털 화폐의 미래에 대해 토론해보면 좋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