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가족, 짚신나물
오늘 텃밭에 새로 들인 친구
짚신나물
산길에 흔한 것이 짚신나물이다
야생화도감(여름)
짚신나물
짚신나물
이미지 크게보기
학명
Agrimonia pilosa Ledeb.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과 : 장미과
크기
30~100cm
개화시기
6월~8월
분포지
한국
목차
생육특성번식 및 관리법
생육특성
짚신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이 양지 혹은 반그늘에서 자란다. 키는 30~100㎝ 정도이고, 잎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3~6㎝, 폭이 1.5~3.5㎝로 어긋나고 표면은 녹색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황색으로 길이가 10~20㎝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8~9월경에 달리고 윗부분에 갈고리와 같은 가시들이 많이 나 있다. 어린잎은 식용,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9월에 받은 종자를 바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리거나 이듬해 봄에 뿌린다. 포기나누기는 이른 봄, 새순이 올라올 때 한다. 종자 발아율은 중간 정도에 속한다. 종자 양은 한 포기에서만 받아도 많이 받을 수 있다.
관리법 : 화단이면 어느 곳에 심어도 잘 자란다. 물은 잎이 많은 시기인 봄에만 2~3일 간격으로 주고 나머지 기간에는 4~5일 간격으로 준다. 이름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옛날에 짚신을 신고 다녔을 때 짚신에 붙어 이곳저곳을 붙어 다녔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 품종의 종자에는 갈고리 같은 털이 있어서 사람들의 옷이나 동물의 털에 쉽게 붙게 되며 그로 인해 여기저기 퍼져 나가게 된다. 학생들에게 돋보기를 이용해서 종자를 살필 수 있게 하면 재미있는 관찰이 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짚신나물 (야생화도감(여름), 2010. 6. 28.,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은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자생하는 다년생 약초로, 30~100cm 높이의 줄기와 노란 꽃이 특징입니다. 꽃은 6~8월에 피며, 어린순은 나물로, 꽃이 필 때 채취한 전초는 약재로 사용됩니다.
1
2
주요 효능
지혈 및 항염 작용 : 자궁출혈, 각혈, 변혈 등 각종 출혈에 효과적이며, 뱀에 물린 상처나 요도염, 습진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1
항암 및 항염증 : 암세포 증식 억제, 위염 등 염증 치료에 도움을 주며, 진통 효과도 있습니다.
1
기생충 제거 : 고기 섭취로 인한 기생충 감염 예방 및 치료에 활용됩니다.
1
활용 방법
약용 : 건조된 전초 30g을 물 2리터에 끓여 하루 3번 복용합니다. 과다 복용 시 구토, 현기증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1
식용 : 봄철 어린순을 나물로 섭취합니다.
1
주의사항
부작용 : 과다 복용 시 구토, 현기증, 안면홍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식물 관리 : 적당히 습한 환경에서 자라며, 비료와 가지치기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